지난해 184건 발생 ‘급증’···올 들어서도 44건
계약직에 크게 의존···상담 연속성 등 어려워
박근혜 정부가 학교폭력을 4대 사회악 가운데 하나로 규정하고 적극적인 척결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상담교사 부족과 관계기관의 무관심 등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방황하는 10대 청소년들의 범죄도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실질적인 예방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3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에서 발생한 학교폭력은 2010년 55건, 2011년 54건에서 지난해 184건으로 급증했다.
올해에도 5월 말 현재 44건의 학교폭력이 접수됐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예방교육과 상담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에 배치돼 학생을 교육하고 상담할 전문상담교사는 도내 전체적으로 17명에 불과해 평소 학생들의 심리상태를 점검하고 학교폭력문제 발생 시 사실 확인에 나서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상담사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들 역시 67명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1년 단위로 계약이 이뤄져 연속성 있는 상담이 어려운 상황이다.
제주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폭력 전담기구를 구성할 때 학교 규모 등에 따라 상담교사가 아닌 다른 교사로 대체해도 된다”며 “예산 문제 등이 해결되면 전문상담교사를 꾸준히 확충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10대 청소년 범죄도 잇따르고 있다.
23일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도내 청소년 범죄는 2010년 1504건, 2011년 1132건, 지난해 1098건, 올해 5월 말 현재 458건 등이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청소년 범죄 단속과 함께 청소년 범죄 예방을 위한 심리치료와 범죄 예방교육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가정에서도 자녀에게 지나치게 학업을 강요하기 보다는 대화를 통해 소통하며 자녀에 대해 알아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이와 관련,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는 “가족.세대간 대화 단절이 청소년 범죄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며 “가정에서 먼저 부모와 자녀가 대화하고 고민을 상담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