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대 확보로 신속한 상황대처 가능
치안수요 늘어 장비보강 등은 숙제로
항공대 확보로 신속한 상황대처 가능
치안수요 늘어 장비보강 등은 숙제로
  • 김동은 기자
  • 승인 2013.0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출범 1년 성과와 과제
제주해역 해상치안 확보를 위해 문을 연 제주지방해양경찰청이 출범 1주년을 맞았다. 해상치안을 독자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주해양경찰청이 신설되면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졌지만 해상치안 수요 증가에 따른 장비 보강 문제는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

지난해 6월 1일 개청한 제주해경청(청장 송나택)은 국가관할 해역 47만1296km²의 24.4%인 11만950km²에 이르는 제주해역의 치안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1경무관(청장), 4과(경무, 경비안전, 정보수사, 해양방제), 1단(항공), 1대(특공) 등 직제에 직원 150여 명이 배치돼 있으며, 3000t급 4척과 1500t급 3척, 500t급 1척 등의 경비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제주해경청 신설 전에는 부산에 있는 남해지방해양경찰청의 현장지휘를 받다 보니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에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신설 후 해상치안을 독자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즉각적이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졌다.

지난해 8월 태풍 ‘볼라벤’이 내습할 당시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항 인근 해역에서 좌초된 중국어선에 대한 구조작업을 벌여 선원 18명을 구조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아울러 남해해양경찰청 소속 항공대가 제주해경청으로 편입되면서 도서지역 등에서 발생하는 응급환자 후송이 한결 수월해졌다. 여기에 날로 흉포·조직화되는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단속은 물론 대응력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상 주권을 수호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해해역까지 담당하는 게 현실적으로 힘에 부치는 데다 해상치안 수요 증가에 따른 장비보강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 남방해역을 통해 우리나라 수출입 화물의 90% 이상이 운송되고 있다 보니 해상치안 수요 대응을 위한 5000t급 대형 경비함정의 배치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송나택 청장은 “영토 분쟁 등 주변국 대응 시 주도적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선 5000t급 대형함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5000t급 경비함정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 청장은 이어 “바다종사자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신뢰받는 해상치안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