擧道的 절전운동이 위기 극복 최후 수단
擧道的 절전운동이 위기 극복 최후 수단
  • 제주매일
  • 승인 2013.0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 전력(電力)사정이 아무래도 심상치 않다. 무슨 일이 꼭 벌어질 것만 같아 불안 불안하다. 그 근본 원인은 제주도가 ‘전력 자립(電力 自立)’이 안 되고 있는 데  있다.
현재 제주도는 대부분의 전력을 다른 지방 원전 등에서 ‘제1해저 전력연계선’을 통해 끌어다 쓰고 있다. 하지만 불량 부품 때문에 일부 원전이 가동을 멈춰 전국이 ‘전력 초비상’ 상태다.
그래서 전력거래소는 지난 4일의 경우, 오전에는 전력수급경보 첫 단계인 ‘준비’를 발령한데 이어 오후에는 두 번째 단계인 ‘관심’경보를 예보하기까지 했다. 예비전력이 오전에는 450만kw, 오후에는 385만kw로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주도라 해서 특별히 충분한 전력을 송전해 줄 수도 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제주도가 당장  LNG발전소를 세워 ‘전력 자립화(電力 自立化)를 실현 할 수도 없는 처지다. 오로지 ’해저 전력연계선‘을 통해 송전을 받아야 하므로 원전이 재가동되지 않은 한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기 어렵다.
만약 해저연계선이 송전 제한을 받을 경우 제주도 입장에서는 속수무책(束手無策)이다. 제주도 당국이 ‘전력수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해도 당장 뾰족한 수가 없다. 또 있을 수도 없다.
다만 한 가지 ‘절전(節電)이 있을 뿐이다. 그것도’ 범도민적(汎道民的), ‘거도적(擧道的)’ 절전운동이 성공을 거둘 때만  초비상 전력난을 응급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민-관-업계가 협력해서 대대적으로 절전에 철저히 동참한다면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되더라도 위기를 탈출 할 수 있는 응급처방은 될 수 있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전력 대란으로 병원 응급 환자들이 피해를 입고, 중단 돼서는 안 될 지역 기간산업이나 교통수단에 장애를 주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 모든 것들의 해법은 전적으로 거도적 절전 운동의 성공 여부에 달렸다. 그리고 지금의 전력 비상 상황을 계기로 현안인 LNG발전소를 한해라도 빨리 건설해서 ‘제주 전력 자립’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