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취소 LNG발전 재추진해야
이명박 취소 LNG발전 재추진해야
  • 제주매일
  • 승인 2013.0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9일 오전 11시 30분쯤 제주와 전남 해남을 잇는 제1 해저전력연계선이 고장 나 전력수급 경보단계인 ‘주의’가 발령됨으로써 한때나마 제주 전역을 긴장시켰다.
다행히 시운전 중에 있는 제주~진도 간 제2 해저전력연계선을 통해 6만kw의 전력을 긴급히 공급 받는데 성공, 3시간 만에 ‘주의’ 경보를 해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2006년 4월1일 똑 같은 해저전력연계선 고장으로 도 전역에 걸친 장시간 대규모 정전사태를 경험한 도민들은 또 다시 그때의 악몽이 되살아나 긴장을 늦출 수가 없었다.
당시 노무현 정부는 자급자족에 절대 못 미친 불안한 제주도의 전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제2해저전력연계선 증설과 함께 LNG발전소 건설계획을 확정했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달랐다. 2008년 8월, 제주에 해저전력연계선은 증설키로 했으나 노무현 정부가 확정한 LNG발전소 건설계획은 백지화 해버렸다.
그후 제주의 전력사정은 늘 ‘불안의 연속’이었다. 해저전력연계선에는 고장 날 개연성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의 연계선 고장도 그중의 한 예일뿐이다.
제주지역의 전력 자급률은 지난해 말 기준 81.5%에 불과하다. 공급능력 81만7300kw에 비해 발전 능력은 66만2000kw뿐이다. 하지만 정부의 제주전력 대책은 건설 예정 연계선을 포함, 고장 위험성이 있는 3개의 해저전력 연계선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제주에 대한 전력 공금 방식이 바뀌지 않은 한 전력 대란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연계선이 고장 나거나 원자력 발전소가 문제를 일으킬 경우 부족한 전력을 공급 받을 길이 없으니 당할 수 밖에 없지 아니한가.
제주의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유일하고도 최선의 방책은 역시 LNG발전소를 건설하는 길 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도 제주 전력 문제에 대한 혜안은 노무현 정부가 이명박 정부보다 한 수 위다.
이제는 박근혜 정부가 제주의 전력문제를 해결해 주어야 한다. 이명박 정부가 백지화 한 제주 LNG발전소 건설계획을 다시 되살려 한 해라도 빨리 전력난을 해소해 주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