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건설은 제주의 최대 현안 중 하나다. 제주공항의 여객수요 증가로 2019년께 포화시점에 봉착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신공항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기존 공항을 확장하던지, 새 공항을 건설하던지 제주의 공항문제는 당장 ‘발등의 불’이다.
그러나 제주 신공항 건설의 이면에는 또하나의 소음피해 민원이 도사리고 있다. 신공항이 제주발전의 ‘원동력’이라면, 항공기 소음은 주민피해와 사회적 비용을 양산하는 ‘뜨거운 감자’인 셈이다.
▲ 24시간 공항운영 ‘허와 실’
제주도는 신공항 건설이 확정되더라도 완공까지 10여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 현 제주공항의 ‘24시간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도민사회에서 공항 운영시간 연장에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고, 각 항공사도 24시간 운영시 야간에 항공기 투입이 가능하다는 게 제주도의 입장이다.
관광객 증가에 따른 여객수요에 대응키 위해 항공기 야간 운항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오후 11시부터 오전 6시까지 제한된 운항시간을 연장할 경우 직접 피해에 노출되는 공항 인접지역의 반발은 불을 보듯 뻔하다. 심야 시간대에 항공기를 운항할 경우 수면과 학습장애 등 일상생활의 피해가 더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 피해지역 정책적 배려 절실
제주시 용담동과 이호, 도두동 주민들은 제주공항의 24시간 운영을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못박고 있다.
고원호 용담2동 소음피해대책위원장은 “24시간 운영은 피해지역 주민들에게 또다시 고통을 감내하라는 일방적인 행정조치일 뿐”이라며 “형식적인 지원책을 내세워 추진된다면 반대 투쟁에 적극 나서겠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납득할 만한 특별대책이 제시되고, 신공항 건설을 전제로 24시간 운영문제가 논의될 경우 당국과 대화에 나설 수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이에 따라 신공항과 24시간 운영 추진에 앞서 공항 인접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지원·보상체계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사전 갈등예방 차원에서 소음피해지역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우선돼야 한다는 게 그 이유다.
소원옥 제주도의원(용담1·2동)은 “최근 항공기 증편과 야간시간대 운항 사례가 늘면서 지역주민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다”며 “실질적으로 피해지역과 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주민복리 증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