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미분양 주택 '어쩌나'
도내 미분양 주택 '어쩌나'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3.0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996호…전달 대비 6.3% 감소 그쳐
일부 주택 분양에서 전세 전환 영향 분석

‘미분양 주택 대란’ 우려감이 좀처럼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미분양 주택은 996호로 전달 1063호 대비 6.3% 줄어드는데 그쳤다. 주택 규모별로는 60㎡ 이하 115호, 60~85㎡ 840호, 85㎡ 초과 41호 등이다.

도내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4월 48호에서 5월 310호로 급증한 후 6월 290호, 7월 284호, 8월 265호 등으로 감소세를 보여 왔다. 하지만 9월 들어 982호로 급증한 뒤 올 2월에는 1063호 까지 치솟았었다.

특히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3월 533호를 기록하며, 전달 대비 4.5% 감소하는데 머물렀다.

지난달 미분양 주택이 소폭이나마 감소한 데는 일부 원룸과 주택 등이 분양이 제때 이뤄지지 않자 전세 등으로 전환한 물량이 상당수 있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주택이 좀처럼 줄지 않는 것은 주택물량이 쏟아지며 소비자들이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상당수 원룸과 주택인 경우 분양이 여의치 않자 임대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최근 한 건설업체는 집값 불안으로 분양 수요는 줄고 전세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분양물량 일부를 전세 전환과 할부분양으로 전환하기도 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주택 물량 증가는 지역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겠지만, 반대로 주택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가격 거품이 가라앉아 분양가를 낮추는 결과로 이어져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며 “업계의 자구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미분양 주택 부담은 민간부문 건설 활동도 크게 위축시키며, 건설업계의 고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지난달 도내 건설업 취업자는 6000명 줄며, 20.7% 급락한 상태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