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제65주년’, 올해도 어김없이 그날은 왔다. 매년 시작되는 4월과 함께 ‘4.3’을 맞고 있지만 아직도 ‘제주의 4월’은 봄이 아니다. 계절은 어김없이 봄을 노래하지만 도민의 가슴에 싸늘한 냉기가 가시지 않고 있다. 봄이면서 봄이 아닌 것이다.
‘4.3의 추억’은 잔인하다. 한 많은 세월이 도민들의 가슴을 후벼 파고 있다. 65년 세월이 지났지만 한으로 도민의 가슴에 응어리 진 시커먼 피멍은 지워지지 않고 있다.
아직도 억울한 주검들에 대한 해원(解寃)이 제대로 되지 않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쌓여 있기 때문이다. 부당하고 불의한 공권력에 의해 3만~4만여 도민들이 학살되고 또 유족들의 피울음이 그치지 않고 있는데도 정부의 4.3 문제 해결은 더디기만 하다.
‘4.3 희생’과 관련 대통령이 공식사과까지 했는데도 정부차원의 4.3문제 해결은 변죽만 울릴 뿐 근본적인 대책마련은 요원한 실정이다. 정부가 아직도 ‘무자비한 공권력에 의해 제주도민들이 대학살 됐다’는 ‘4.3의 본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래서 ‘4.3 희생 65주년’을 앞둬 도미들은 정부의 적극적 ‘4.3 완전 해결’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우선 ‘4.3 국가 추념일 지정’이다. 물론 4.3 희생자와 부상자, 유족들에 대한 생활보조비나 의료비 지원, 희생자 추가 발굴 등 조치가 뒤따라야 하지만 ‘4.3 국가 추념일’은 4.3완전 해결의 출발이자 핵심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대통령 선거 운동과정에서 ‘제주 4.3 완전 해결’을 공약으로 내걸었었다. 그렇다면 ‘4.3 국가 추념일 지정’은 박근혜 정부의 몫일 수밖에 없다.
정부의 국가 추념일 지정을 앞세워 ‘화해와 협력과 상생’을 통해 ‘희망의 국민행복시대‘를 이끌어가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4.3 65주년에 보내는 정부의 메시지에 도민적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