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값 폭락…세이프가드 검토돼야
돼지 값 폭락…세이프가드 검토돼야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3.0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돈 감축 효과 9~10개월 소요…양돈 업계 큰 타격 불가피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돼지 파동이 잡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농가에서는 “키울수록 손해”라는 탄식을 쏟아내고 있다.

31일 제주농협지역본부에 따르면 최근 산지 돼지 경락가격은 26~27만원 선을 오가며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

3월 넷째주 도내 산지 돼지 경락가격(110kg 기준)은 26만2000원으로 2월 평균 28만6000원 대비 8.4% 떨어졌다. 이는 전년 동월 39만4000원 대비 33.5%나 폭락한 가격이다.

불과 1년 전 금겹살로 불릴 정도로 비쌌던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락하기 시작, 생산 원가에도 못 미치는 수준까지 떨어진 것이다.

장기화의 길로 접어든 돼지가격 폭락은 정부의 수급조절 실패와 생산성 향상에 따른 공급과잉,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부진 등으로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영세 양돈농가의 생존권까지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다 상당수 소비자들이 소매가격 부담 탓으로 별 거부반응 없이 수입산 돼지고기를 소비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절실해 지고 있다.

실제 제주지역의 경우 지난해 돼지고기 소비량 1만3641t 가운데 27.4%(3738t)가 외국산으로 추정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료가격도 크게 오르며, 양돈농가의 경영악화를 불러오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사료가격은 2009년 대비 17.6% 오른 상태다. 사료가 생산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 가량으로 이 같은 사료가격 인상은 경영난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모돈 감축과 원산지 위반행위 단속 등을 추진, 돼지고기 가격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모돈 감축은 장기간 소요될 뿐 아니라 원산지 위반행위 단속이 실질적인 가격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없다는 게 양돈업계의 시각이다.

따라서 현재 가장 시급한 방안은 돼지고기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조치)이다.

한·유럽연합(EU), 한·미,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 등으로 인해 관세감축에 의한 수입량 증가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국내 돼지 도축두수가 1650만~1700만두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수입물량 마저 늘어날 경우 국내 한돈업의 몰락은 기정사실화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세이프가드 잠정조치는 관세인하 또는 철폐의 결과로 수입이 증가했고, 국내 산업에 심각한 피해 또는 그에 대한 우려의 실질적 원인을 구성한다는 명백한 증거가 있다는 당국의 예비판정이 있을 시 발효된다.

이와 관련 김성진 대한한돈협회 제주도협의회장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모돈 감축도 중요하지만 이는 궁여지책으로 내놓은 장기적인 대책”이라며 “돼지고기 가격이 폭락한 가운데 수입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경우 양돈업계는 더욱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만큼 긴급 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가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