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실장은 이날 사과문을 통해 "새정부 인사와 관련하여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서 인사위원장으로서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허 실장은 이어 "앞으로 인사 검증 체계를 강화하여서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다"며 인사검증 시스템 개선을 약속했다.
◈ 靑 전날까지도 '인사실패 사과 없다'
이번 사과는 김용준 전 국무총리 내정자를 시작으로 최근 한만수 전 공정위원장 내정자까지 박 대통령이 임명하거나 내정한 고위공무원들이 각종 의혹으로 잇따라 중도낙마하면서 인사실패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아진 가운데 나온 것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전날까지만 해도 "사과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인사실패에 대해 대통령이 유감표명을 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진짜 없냐"는 거듭되는 질문에도 "없으니까 없다고 하는 것"이라며 사과나 책임자 문책 등의 계획이 없음을 공식화했다.
또 다른 고위관계자도 "처음에 시행착오를 거친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수정해가면 될 문제"라며 "무슨 일이 생길때마다 대통령이 사과를 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선을 그었다.
◈ 전격적인 인사실패 사과 결정 배경은?
그러나 인사실패에 대해 사과 한마디 없이 은근슬쩍 넘어갈 경우 비판여론이 더욱 거세지고 이는 국정운영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전격적으로 공식 사과를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초 박 대통령은 "일희일비하지 말라"며 내부 단도리에 들어가는 등 사과나 책임자 문책 보다는 현 상황을 정면돌파할 계획이었지만 측근들을 중심으로 박 대통령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고위관계자는 "새정부 출범 초기부터 시행착오가 계속되면 국정지지도가 하락하고 이는 결국 국정운영의 동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그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로 오후로 예정된 고위 당정청 워크숍에서 최근의 인사실패에 대한 책임론이 집중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 점도 전격적인 사과 발표의 배경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내에서는 이날 워크숍에서 인사실패에 대해 집중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책임자 문책과 대통령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특히, 비주류는 물론이고 정권재창출의 1등 공신인 친박계조차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고 나서는 등 당내 반발기류가 점차 거세진 것도 청와대로서는 큰 부담이 됐다는 관측이다. <노컷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