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매치 휴식기를 맞아 숨고르기에 들어간 제주유나이티드가 화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16일 대전과의 2013시즌 K리그 클래식 3라운드 원정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 3경기 무패행진을 이은 제주. 당시 경기에서 전반 29분 상대 공격수 주앙파울로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지만 후반 2분 신인 수비수 김봉래의 동점골로 패배의 위기에서 벗어났다.
개막 후 제주는 1승 2무로 순항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방울뱀 축구(볼 점유율을 최대한 유지하며 한 순간에 상대의 빈틈을 노려 빠른 공격을 가하는 전술)에서 진화된 킹방울뱀 축구의 성공 가능성이 엿보이고 있다.
박경훈 감독은 ‘킹방울뱀 축구’가 유기적인 패스 플레이와 빠른 역습(카운트어택) 전개, 원샷 원킬의 골 결정력 등 3박자를 갖출 때 비로소 완성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송진형을 공격형 미드필더로, 윤빛가람과 권순형을 ‘더블 볼란치’로 배치했다.
패싱력뿐만 아니라 공수 밸런스가 뛰어난 이들은 활발한 스위칭 플레이를 통해 정삼각형 또는 역삼각형 형태로 움직이며 수많은 공격 찬스를 만들어 낸다. 상대 공세가 거세질 경우 수비력이 뛰어난 오승범을 투입, ‘선 수비 후 역습’의 전술로 상대 뒷공간을 노린다.
하지만 골 결정력은 아쉬운 대목이다. 매 경기 한 골씩 득점하고 있지만 승리의 초대장이 되긴 모자란 점이 많았다. 앞선 3라운드에서도 동점골 이후 경기의 흐름을 완전히 장악했지만 골 결정력 부족으로 승리의 마침표를 찍지 못했다.
전남과의 개막전(1-0 승)에서 결승골을 터트리며 기대를 모았던 페드로에 대한 상대의 집중 견제가 더욱 심해졌고 아지손, 마라냥, 이현진 등 이적생들과 기존 선수들이 완전히 손발을 맞추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박경훈 감독은 골결정력을 높이기 위해 2주간 부족한 화력의 세기를 더할 계획이다.
대전 원정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전력에 가세한 ‘특급 조커’ 마라냥을 비롯해 부상 복귀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최전방 공격수 서동현, 박기동의 합류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통해 킹방울뱀 축구의 결정적 요소인 ‘원샷 원킬’을 그라운드 위에서 구현하려고 한다.
박경훈 감독은 “수비가 비교적 안정된 반면 득점이 적다는 게 아쉽다”면서 “킹방울뱀 축구의 완성은 원샷 원킬에서 시작되는데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팀에 합류한 마라냥을 시작으로 서동현, 박기동이 부상에서 회복한다면 공격 옵션이 다양해질 것”이라며 “2주 동안 상대의 수비를 공략할 수 있는 전략을 구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