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서 운영되는 대기업 계열의 일부 대형 숙박시설들이 관광객 유치증진 사업 효과에 무임승차하려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관광객 증가 등으로 상당한 매출수익을 올리고 있음에도, 정작 관광객 유치증진을 위한 활동에는 소극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협회는 도내 관광업체를 대상으로 회원가입을 유도하고 이들 회원사의 회비를 통해 제주방문 관광객 유치증진을 위한 공동마케팅, 수용태세 개선, 관광종사자 교육, 관광사업체의 경쟁력 강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회원사들의 회비는 평균 매출액의 1000분의 1을 기준으로, 연간 최대 2000만원까지 납부하고 있다.
이달 13일 현재 협회 가입 회원사는 945개사. 항공사와 특급호텔을 비롯해 관광지, 기념품 판매점, 식당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하고 있지만 대기업 계열의 상당수 대형 숙박시설은 실익이 없다는 이유로 가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969만1703명으로 전년도 대비 10.9%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도내 숙박시설은 80~90%의 가동률을 보이는가 하면, 관광관련 업계도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관광객들의 소비지출은 업계 수익성이 향상돼, 지역주민들에게도 소득증대와 고용확대로 이어지는 시너지효과를 창출시키는 등 산업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파급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때문에 일부 대기업 계열 숙박시설들의 ‘무임승차’행태는 지역상생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중론이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제주관광의 경쟁력 강화는 관광객 유치 효과로 이어져 기업의 매출 증가와 재투자 확대 등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 개선효과를 가져 온다”면서 “제주관광이 보다 큰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관광관련 사업체들의 자발적 참여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발휘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