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속·신호위반 근절 안돼···사고위험 상존
경찰, “앞으로 1개월 집중단속” 연례행사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학교 주변에 지정된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 내에서 과속·신호위반이 빈번해 교통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경찰, “앞으로 1개월 집중단속” 연례행사
도내 어린이 보호구역은 초등학교 116곳, 유치원 108곳, 보육시설 69곳, 특수학교 3곳 등 모두 296곳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는 과속방지턱과 미끄럼 방지, 방호울타리, 저속운행 노면 표지, 안내 표지판 등의 시설물이 설치돼 있다.
이처럼 어린이 보호구역 내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는 물론 제한 주행 속도 등 관련 법규가 마련돼 있지만 일부 운전자들이 이를 지키지 않으면서 어린이들이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실제 동초등학교 정문 인근은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만 차량들이 신호를 무시한 채 과속으로 달리는 모습이 심심찮게 목격되고 있다.
차도에 큼지막하게 제한속도가 표시돼 있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이를 무시한 채 그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고 있었다. 게다가 차도 옆에 있는 인도의 폭도 좁다 보니 교통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인근 상인 김모(42)씨는 “운전자들의 과속이 빈번하다 보니 어린이 보호구역이 아니라 어린이 위험구역으로 보일 정도”라며 “이러다가 무슨 사고가 나지는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다른 학교 주변도 사정은 마찬가지.
서초등학교 역시 운전자들의 과속 운전이 빈번해 사고 우려를 낳고 있었으며, 북초등학교의 경우 불법 주·정차 행위가 극성을 부리면서 등·하교 하는 어린이들의 시야를 방해하고 있었다.
더구나 이도초등학교 주변은 교통안전 시설물이 아예 설치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 과속방지턱은 물론 속도위반 단속 카메라도 설치돼 있지 않다 보니 운전자들이 마음 놓고 과속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케 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어린이 보호구역 내 과속·신호위반 차량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이 이뤄져야 하지만 사실상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어린이 보호구역 내 과속·신호위반 차량에 대한 적극적인 단속은 물론 운전자들의 교통법규 준수 의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경찰 관계자는 “앞으로 한 달간 어린이 보호구역 내 법규위반 행위를 집중 단속해 어린이 교통안전을 확보하겠다”며 “특히 하교시간대 기동순찰을 벌여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와 속도·신호위반 행위를 단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