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이 1000호를 넘어서면서, 주택 공급 과잉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26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1월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은 1051호로 전달 대비 10.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 규모별로는 60㎡ 이하 148호, 60~85㎡ 884호, 85㎡초과 19호 등이다.
도내 미분양 주택 추이를 보면, 최근 6년간 100~200호 안팎 수준을 유지해오다 지난해 4월 48호까지 떨어졌다가 5월 들어 310호로 늘었다. 이어 6월 290호, 7월 284호, 8월 265호로 다시 감소하는가 싶더니 9월 들어 982호로 급증, 1000호를 육박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10월 841호, 11월 974호, 12월 954호 등으로 좀처럼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분양대란이 현실화돼 왔다.
이와 함께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513호(제주시 429호, 서귀포시 84호)에 달한다.
이 같은 미분양 주택 급증은 이미 예견됐다는 게 건설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도시개발사업지구 내 대규모 공동주택 건설이 이어지고 있는데다 최근 위축되기는 했지만 불과 1~2년 사이 도시형생활주택도 공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같은 공급과잉은 연초부터 급격히 냉각된 도내 주택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면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올 1월 제주지역 주택 인허가 건수는 375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 1279가구 대비 70.7%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3년 평균(2010~2012년) 628가구에 비해서도 40.3% 줄어든 수치이다. 1월 착공물량도 396가구에 그치면서 전년 동월 대비 25% 줄었다.
이처럼 도내 주택시장이 가라앉은 이유는 지난해 도내에서 인허가를 받은 주택 공급물량이 1만256가구에 달하는 등 신규 주택이 집중적으로 쏟아졌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주택 급증은 향후 주택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 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계 당국에서도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주택업체에서도 분양가 인하 등 자구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