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주도는 오는 2020년 세계 제1호 세계환경수도 인증을 목표로 지난 1월 3일 ‘세계환경수도 비전 선포식’을 가졌다. 이와 함께 세계환경수도 특별법 제정을 위한 100만 범국민 서명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이렇게 야심찬 제주의 세계환경수도 인증 활동은 그만큼 제주가 세계환경수도 인증의 충분한 여건과 자격을 갖추고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미 세계가 제주의 청정한 환경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데 이어 2007년에는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계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 됐었다. 그리고 2010년에는 세계지질공원 가입이 인증되기도 했다. 세계에서 섬지역으로는 유일하게 유네스코 자연과학 3개 분야를 인증 받았던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지난해에는 전세계 환경관련 단체 회원 등 1만여명이 모인 환경올림픽이라 할 수 있는 세계자연보전총회(WCC)가 제주에서 열려 제주환경보전의 우수성을 만방에 알린 바 있다. 제주가 세계환경수도로서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그러기에 2020년 세계환경수도 1호 인증을 위한 야심찬 행진은 격려 받아 마땅한 일이다.
그러나 세계환경수도는 이러한 천혜의 청정환경만을 가졌다고 인증되는 것은 아니다. 깨끗한 환경과 인간의 아름다운 삶의 조화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도시정책 전반에 걸쳐 환경적 고려를 우선시하는 도시들 중 한 국가의 대표적 위상을 지닌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는 것이다.
환경적으로 건전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 미래세대의 환경을 배려한 도시, 인간과자연이 공존하는 생태도시로서 환경에 관한한 가장 선진적이며 모범적인 도시인 것이다.
이것이 세계환경수도의 하드웨어적 컨셉이라면 제주가 2020년 세계환경수도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보다 철저한 환경수도 로드맵을 가져야 할 것이다.
도시의 하드웨어 등 물리적 구성요소 뿐 아니라 제도와 시스템, 도민의 삶의 양식에 이르기까지 환경성 또는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둔 실천계획을 세우라는 뜻이다.
3
이를 전제로 한다면 최근 도가 추진하는 세계환경수도 인증 사업 행태를 보면 여간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세계환경수도 조성을 위한 100만 범국민 서명운동을 하면서 자발적 시민서명보다는 행정시 읍면동 공무원을 동원해 할당제로 강제 서명을 받고 있는 것에 대한 반발이 만만치 않다.
이 과정에서 주민동의 없이 공무원들이 시민이름을 도용해서 서명하는 경우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세계환경수도 도전에 대한 취지 설명이나 홍보도 거치지 않고 실적 채우기 위주의 서명운 동은 오히려 세계환경수도에 대한 도민적 반감만 부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환경적 건전성 등 환경적 고려를 우선해야 하는 세계환경수도 인증 임에도 불구하고 비양도 해상 케이블카 등 반환경적 개발정책을 긍정하는 듯한 도 책임석의 ‘2중적 환경 의식’도 세계환경수도 컨셉과는 거리가 멀다.
세계각국이 환경수도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세계 환경수도 인증을 위한 도당국의 자세는 획기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주문이 많다.
우선 도민공감대를 위한 홍보전략을 마련하고 범도민적 참여기구를 구성해서 일사분란하게 세계행정수도 인증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무원 동원 억지 서명운동이나 비양도 해상 케이블카 건설 등 반환경적 도의 행정행위나 개발정책은 당장 그만두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