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동의 없는 임의 서명 빈번

특히 과도한 서명 할당으로 인해 직원들의 업무 부담과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주민 동의 없이 직원들이 모르게 서명하는 등 범국민 서명운동 취지에 맞지 않게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따르면 읍·면·동 주민센터의 경우 거주주민의 60%, 실과 직원의 경우 1인당 4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오도록 할당제를 부여했다.
서귀포시의 경우 지난 1월 한달 간 서명운동을 추진해 3만9000여 명이 서명에 동참해 목표(14만 6000명) 대비 27%의 실적을 거뒀다.
이와 함께 서귀포시를 방문한 전지훈련 선수단(1500명), 관광객(3600명) 등도 서명에 적극 동참해 서명열기를 키우고 있다.
하지만 읍·면·동 및 실과직원에 과도한 목표를 할당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읍·면·동의 경우 거주주민의 60%는 어린이와 노약자를 제외한 사실상 인구의 전부에 해당되기 때문.
이 때문에 직원들이 심적 부담 및 스트레스로 업무지장을 초래하고, 몇몇 읍·면·동에서는 주소록을 보고 주민 동의 없이 임의 서명하는 일까지 발생해 주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일선 직원들은 “읍·면·동 주민센터를 찾는 민원인 가운데 하루 평균 10명~20명 내외만이 자발적인 서명에 동참하고 있어 할당 받은 서명을 채우기 어렵다”며 “실과의 경우도 관광지관리사무소 등 현장에 있는 몇몇 실과의 서명 실적이 우수할 뿐, 제대로 서명운동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제주를 세계환경수도로 조성하기 위한 100만 범국민 서명운동에 대한 도민들의 공감대 형성과 함께 할당제가 아닌 서명을 받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앞으로 관내 호텔과 식당 등 요식업소의 협조를 얻어 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명활동을 벌일 예정이다”며 “마을총회나 자생단체장 이취임식 등 각종 회의와 행사시 현장에 서명대를 설치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열기를 조성하는 등 할당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