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근민지사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시행했던 제주민군복합형 관광미항 15만톤급 크루즈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 시행 결과를 수용하고 최윤희 해군참모총장과 이에 대한 면담이 이뤄지면서 지난 6년 가까이 제주사회를 뒤흔들었던 찬반논란과 갈등양상이 새 국면으로 접어 들었다.
물론 해군기지 건설 반대 단체 등이 시뮬레이션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있지만 우지사가 크루즈 선 입출항 안전성 모의 실험결과를 전면 수용하겠다고 밝힌 것은 해군기지 문제를 더 이상 갈등과 분열의 소지로 남기지 않고 제주미래 발전에 진력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혀진다.
제주해군기지는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안보국책사업이었다. 2007년 6월 22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제주방문길에 “국가 안보를 위한 필수 사업인 해군기지 건설을 수용해 줘 감사하다”고 도민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었다.
이런 상황에서 강정마을 주민과 외부 세력이 주도한 반대 단체들의 격렬한 반대 운동으로 인해 제주도민사회는 첨예한 찬반 논란과 여론 분열과 갈등을 빚어왔다.
반대세력은 “적법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며 공사 무효소송을 걸었었지만 지난해 7월 법원은 ”공사가 적법하다“고 판결했다. 그런데도 반대 측은 각종 이유를 내걸어 ‘공사 중단’ 등을 요구하며 반대투쟁을 벌여왔다.
이미 토지 및 어업보상비 등으로 1천억원 가까운 예산이 토지 소유주나 어민들에게 돌아갔고 30% 가까운 공사진척률을 보이고 있는 안보 국책 사업을 중단하고 백지화 하자는 주장을 해오고 있는 것이다. 도민 다수는 이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고 해군기지 문제가 빨리 정리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와중에 도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전면 수용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계기로 해군기지 문제가 전향적으로 정리되기를 바라는 도민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도와 해군과 정부는 제주해군기지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민.군 복합형 관광미항이 되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물론 추진과정에서 일어났던 갈등 해소 치유는 우선 순위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