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의 非敎育的 ‘교육 정책’들
교육당국의 非敎育的 ‘교육 정책’들
  • 제주매일
  • 승인 2013.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밀어붙인 학교폭력 학생의 ‘학교생활 기록부’ 기재와 ‘일진(학교폭력조직)경보학교’지정이‘비교육적 정책’이란 비판이다.
 학교폭력학생들을 학교생활 기록부에 5년간 기록함으로써 경각심을 심어주고 따라서 학교폭력을 예방해 보겠다는 취지 자체를 나무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직 덜 성장한 청소년기 학생들의 한때의 전과(前過)를 비록 5년이란 한정된 기간이나마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는 것은 참으로 가혹한 정신적 형벌이요 인격적 모독이다.
 일부 지방 교육청이 생활부 기재에 전면 반발하고 나선 것도  그 때문이다. 교과부(敎科部)는 학교폭력의 생활 기록부 기재가 아닌, 다른 교육적 방법을 개발해 내야 한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과부의 또 다른 정책이 바로 ‘일진(폭력조직)경보학교’ 지정이다. 학교폭력을 막기 위해 일부학교를 ‘폭력 경보학교’로 지정, 특별 관리에 들어간 것이다. 이는 폭력 학생 생활부 기재 보다 더 엉뚱하다. 학내(學內)의 일부 폭력조직 때문에 학교전체를 폭력학교인 것처럼 만들어버린 꼴이 되고 말았다.
 교과부도 이점을 우려해서인지 ‘폭력 조직 경보’가 내려진 특별관리 지정학교의 명칭을 ‘올품 학교(올바른 품성 지원학교)’로 부르기로 했다고 한다. 이름이 아무리 멋지고 아름다우면 무슨 소용인가. ‘일진(학교폭력조직) 경보 학교’로 공식 지정됨과 동시에 해당학교들은 마치 ‘폭력학교’와 같은 이미지를 뒤집어쓰고 말았다. 이 역시 학교폭력 생활부 기재와 같이 버려야 할 비교육적 교육정책이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같은 학교폭력 예방책이라 하더라도 이왕이면 교육적인 냄새가 풍기는 정책으로 바꾸었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