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요천·송하헌 과장 집도
제주한라병원(병원장 김성수)이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흉부 대동맥류 환자에 대한 하이브리드 테바(Hybrid Tevar)를 성공적으로 시행해 화제가 되고 있다.한라병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8일 A(71)씨가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로 실려왔다. 진단 결과 A씨는 흉부 대동맥류 파열로 매우 급박한 상태였다. 흉부 대동맥류란 가슴의 대동맥 일부가 풍선처럼 부풀어오르는 병으로 대개 자각 증상이 없다.
이 경우 파열된 대동맥류 전체를 인조혈관으로 교체하는 외과수술이 전통적인 치료 방법이지만 A씨는 예상 수술 문합 부위가 수술 시야에서 너무 깊어 수술 난이도 및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게다가 대동맥류의 또다른 치료 방법인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기에는 대동맥류의 위치가 대동맥궁의 분지 혈관과 너무 가까워 대동맥 스텐트로 인해 분지 혈관이 막힐 수도 있는 상태였다.
이에 따라 정요천 흉부외과 과장과 송하헌 영상의학과 과장이 통합진료시스템을 가동해 외과적 수술과 스텐트 삽입을 함께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테바를 계획했다.
먼저 정 과장이 인조 혈관을 이용해 대동맥 스텐트로 인해 막히게 될 대동맥궁의 분지 혈관을 상행대동맥으로 우회하는 외과적 수술을 시행했고, 송 과장이 대동맥류 내에 대동맥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으로 5시간여에 걸친 수술을 마무리했다.
A씨는 수술한 지 5일정도 지나 의식을 완전히 되찾은 뒤 일반병실로 옮겨졌으며, 지난 14일 건강하게 퇴원했다.
정 과장은 “A씨의 경우 외과 수술의 위험도가 너무 높다고 판단해 하이브리드 테바를 시도했다”며 “수술 중 대동맥류가 다시 파열되는 바람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다행히 잘 마무리 돼 환자가 안정적으로 회복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기존의 수술법과 인조혈관스텐트 삽입술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수술은 전통적인 수술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 등 대도시의 상급병원 등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도내에서 대동맥류 환자를 대상으로 성공시킨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