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속 식물 한라산돌쩌귀·진범 등 제주 자생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최근 한약재로 사용하는 ‘초오’를 잘못 섭취해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21일 밝혔다. ‘초오’는 소백산, 태백산, 대암산, 설악산, 광덕산 등 우리 주변에 흔히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식물의 덩이뿌리로서 흔히 ‘투구꽃’의 뿌리로 알려져 있다. 제주에도 한라돌쩌귀와 진범 등의 초오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초오속 식물에는 독성이 강한 한약재인 ‘부자’에도 포함돼 있는 아코니틴, 메스아코니틴 등이 함유돼 있다. 따라서 중독되면 입과 혀가 굳어지고, 손발이 저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두통, 현기증, 귀울림, 복통과 구토, 가슴 떨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약재는 질병 치료 등에 사용하는 의약품이므로 재래시장 등에서 민간요법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구매 또는 섭취해서는 안 된다.
식약청 관계자는 “한약재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부작용 사례 등에 대한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불법판매 근절 등 한약재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