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동북아 해난구조기지로” 주장 '눈길'
“제주해군기지, 동북아 해난구조기지로” 주장 '눈길'
  • 김지석 기자
  • 승인 2013.0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정부 정책방향과 제주의 대응전략’ 제주미래포럼 개최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부 정책방향에 맞춰 제주의 현안과제들이 반영되기 위해서는 보다 탄력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 사업을 동북아 해난구조기지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도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주발전연구원(원장 양영오)와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김용범)는 지난 18일 제주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새정부 정책방향과 제주의 대응전략’이란 주제로 제주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정수연 제주대 교수는 이날 ‘새정부에서의 지식기반 집적지 제주전략’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박근혜 당선인의 공약을 보면 다른 지역 정책의 경우 ‘고용 창출’을 내포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제주지역의 공약은 일자리 창출에 한계를 갖고 있다”며 “제주는 제주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이어 “앞으로 관광을 강조하되, 창조경제와 중소기업 강조로, 창조경제의 적지로서의 제주의 강점을 강조하는 전략으로 나가야 한다”며 “제주가 왜 지식기반사업 집적지, 창조경제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 강화가 필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강철준 한국금융연수원 교수는 ‘제주지역 핵심공약 반영전략’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해군기지를 중앙정부 필요성에 맞게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며 “제주해군기지는 주변국과의 외교전략과 국민통합차원에서 단순 군사기지 보다는 동북아 해난구조기지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이어 “동북아 해난구조기지로서 발전시킨다는 목표 아래 필요한 첨단장비와 시설투자, 관련 연구소 등 유치 패키지 개발 등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제주도와 도민이 새 정부의 공약달성에 협조하는 대신 중앙정부로부터 필요한 협조를 최대한 유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정책 및 신성장산업’분야를 발표한 송우경 한국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기후변화와 자원부족, 저출산과 초고령화와 같은 메가트렌드 대응형 제주 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며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정보통신기술부 신설로 제주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계분야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영오 제주발전연구원장은 “이번 포럼은 신공항 건설 등 제주지역 주요 현안사항 등 대선공약이 새정부 주요 정책과제에 선정해 반영되는 계기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며 “포럼에서 제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해 앞으로 핵심 사안 등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 확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