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운영만 위탁, 활성화 위해 전문가 운영해야”

다음주 위탁운영자 선정을 위한 심의위원회가 개최되는 가운데 서귀포시 시민단체들이 제주도의 직접 운영을 촉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10개 시민단체로 이뤄진 ‘서귀포시 공공의료를 위한 시민대책위’는 성명을 내고 제주도에 재활병원 운영을 촉구했다.
시민대책위는 “450억이라는 시민의 혈세를 쏟아부은 재활병원이 공모를 통해 민간업자에게 넘겨지는 수순을 밟고 있다”며 “서귀포시민의 혈세로 지은 병원을 탐욕과 이윤추구에 여념이 없는 민간병원에 넘기는 것은 시민과 장애인을 우롱하는 처사다”고 비판했다.
또한 시민대책위는 “올해 초 우근민 지사는 ‘보건의료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서귀포 재활병원을 공공병원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제주도정은 민간업자에 특혜를 주기 위해 서귀포 공공의료를 포기하려 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시민대책위는 “우근민 지사는 재활병원을 민간업자에 넘기는 수순을 중단하고 책임지고 직접 운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에 제주도는 위탁운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건물은 제주도가 소유하고 병원의 운영만 위탁하는 것이다”며 “당초 기본계획 용역 결과 위탁경영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고, 전문가들도 시작은 전문인력확보와 노하우가 있는 병원이 맡아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다른 5개 권역 재활병원도 대학병원과 적십자 병원에서 위탁운영하는 실정이다”고 “제주도가 직영으로 할 경우 적자 운영은 불보듯 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관계자는 “위탁운영자를 선정하더라도 5년 후 평가를 거쳐 다시 선정할 예정이기 때문에 시민사회단체가 주장하는 문제는 없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다음주 중으로 중앙전문기관, 지역주민대표, 의료계, 의회, 대학교수 등 9명이 참여하는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위탁운영기관을 선정할 방침이다.
한편 서귀포시 서귀동 284의 1번지(옛 서귀여중 터)에 들어서는 제주재활전문병원은 지난 2009년 3월부터 사업비 380억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7층 규모(연면적 1만9019㎡)에 재활치료실, 특수치료실, 입원실(150병상) 등을 조성했으며, 내년 개원한다.
위탁운영자 선정을 위해 제주도가 지난달 전국 공모한 결과 서귀포의료원, 연강의료법인, 한라의료법인 등 3개 의료법인이 신청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