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광장’ 실패 땐 禹지사 책임져야
‘탐라광장’ 실패 땐 禹지사 책임져야
  • 제주매일
  • 승인 2012.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근민 도정(道政)이 ‘탐라문화광장’ 조성사업을 강행하려 하고 있다. 제주시 원도심지(原都心地)의 공동화를 막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 한다는 명분에서다.

 이미 우근민 도정은 ‘탐라문화광장’ 조성을 위한 ‘실시설계용역’에 착수, 금년 말까지는 끝낼 계획인 데다 이 사업과 관련된 ‘도시관리계획 결정 변경안(案)’도 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로부터 원안 가결을 받아 놓은 상태다. 아마 관련예산 확보도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탐라문화광장 조성사업에 대해 시민들이 완전 합의해 주거나 동의해 준적은 아직까지 없다. 뿐만 아니라 도의회의 공식 의견도 사전에  청취하지 않고 있다가 관련 도시관리계획 변경안(案)에 대한 의견청취 형식으로 가름해 의원들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탐라문화광장은 총 842억 원이 들어가는 대규모 사업이다. 공공자금 490억 원과 민간자본 352억 원이 투입돼 제주시 건입동 산지천을 중심으로 문화공원을 조성하는 외에 보행환경 조성, 노면수로, 경관조명, 수경시설, 하천정비 등 공공시설과 세계음식점, 전통음식거리, 테마카폐, 관광노점 등의 민간 사업장도 마련 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이렇듯 거액의 사업비를 쏟아 부은 ‘탐라문화광장’이 과연 성공할 수 있느냐는 데 있다. 공급이 있으면 수요가 따라 줘야 하는 데 과연 이곳을 찾을 관광객, 특히 외국관광객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공공부문 민간부문 할 것 없이 시설만 번지르르하게 갖추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거액 사업비 투자 이상의 실익과, 산지천 주변만이 아니라 무근성-서문시장-남문로-동문로 일대의 모든 원도심지의 공동화와 침체된 상권을 되살릴 수 있을 때라야 비로소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지역공동화와 침체된 지역 상권 활성화는커녕 주민이 대자본가에게 쫓기는 현상이 나타난다면 큰 낭패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우근민 도정은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는 심정”으로 재검토에 재재검토(再再檢討)를 계속해 주기 바란다. 명분만 갖고 밀어붙이다가 탐라문화광장이 만약 실패한다면 그때는 우근민 지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 물론 성공하면 우 지사의 공(功)이다.

 제주도정은 호접란 미국 수출사업 실패로 거액을 날려버린 전철(前轍)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 탐라문화광장도 그와 같아서는 안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