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 예산이 투입된 WCC(세계자연보전총회)의 후속사업이 국비 등 예산확보가 어려워 개최의미가 퇴색될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김승하 의원은 29일 2013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영계획안 심사에서 “WCC 관련 내년 예산 편성 내역을 보면 제주형 의제 IUCN결의문 후속조치 사업, 제주세계리더스보전포럼 운영, 제주선언문 홍보물 제작 등 14개 후속 사업에 14억5100원의 도비만 편성됐다. 국비확보 방안은 무엇이냐”고 추궁했다.
하민철 의원은 역시 “WCC 예산은 조직위까지 823억원 투입됐다”면서 “수백억 돈 자치를 했는데 단 1원의
답변에 나선 이인섭 단장은 “예상해서 국비를 신청할 수 없다. WCC가 9월 중순에 끝났고 정부의 내년 예산은 이미 국회에 제출된 상태다”라며 “내년 3~4월 경 예산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어 “제주형의제 관련 예산 10억원은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 예결위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국비확보를 위해 최대한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내년부터 2014년 9월까지 세계환경허브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요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제주도은 이 용역을 바탕으로 기존 세계환경수도 기본계획을 수정․보완해 세계환경허브조성 기본계획으로 확정, 제주를 친환경사회시스템으로 개발할 예정이었다.
더불어 제주선언문에 명시된 ‘제주 세계리더스본전포럼’을 환경분야다보스포럼으로육성․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운영계획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선 IUCN과 정부, 제주도가 함께 역할을 정립, 예산을 분담해야 한다. WCC성공개최 이후 제주형 의제 5가지가 추진되지 않을 경우 8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WCC개최 의미는 크게 퇴색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성공적으로 끝난 WCC에 투입된 예산이 낭비로 끝나지 않도록 필요한 사업 예산은 국가와 제주도가 분담하는 역할정립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