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의 설명에 의하면 국토가 좁은데도 불구하고 확대되는 묘지 때문에 목초지와 주거지가 훼손되었던 스위스에서 1999년 1월 가장 먼저 수목장을 도입한 이후 각 나라들이 다투어 도입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또 한가지 곁들여서 수목장용 나무는 영생목(永生木)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고 하며, 주로 참나무, 너도밤나무, 자작나무 등이 사용되는데 2004년 별세한 김장수 전 고려대 농대 교수의 장례는 평생을 함께한 숲과 나무 곁에 묻히고 싶다는 고인의 뜻에 따라 수목(樹木葬)장으로 치뤄져 그분이 평소 아꼈다던 50년생 참나무와 함께 숲(고려대학교 연습림)의 일부로 돌아갔다고 하는 일화도 듣게 되었다.
그이와 숲으로 들어가서 숲의 기운을 마음껏 받고 돌아와 다음과 같이 다짐했다. 하루 하루를 소중하게 보내자고,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것들' 목록을 꼼꼼히 적으면서 죽기 전에 하나 하나씩 실천해 보자고, 사는 동안 행복하게 살다가 만약 생이 다하면 한 줌 흙으로 돌아갈 육신이 살 집은 만들지 말고, 나무 곁에 묻혀 숲의 일부가 되자고.
제주시 도두동사무소 이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