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투성이인 ‘삼다수 對日수출’
의혹투성이인 ‘삼다수 對日수출’
  • 제주매일
  • 승인 2012.1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기업인 제주개발공사의 신뢰와 제주지하수의 브랜드 가치를 형편없이 망가뜨려버린 ‘삼다수 대일(對日)수출 계약’에는 겹겹이 의혹투성이들이 휩싸여 있다.

 우선 지난해 11월 계약업체 선정부터가 의혹을 사기에 충분했다. ‘삼다수 대일 수출계약은 생산계약이 아닌, 물류(物流) 즉 상품의 유통과 판매에 대한 계약이다. 그렇다면 삼다수 대일 수출-판매업을 수행할 계약 당사자는 당연히 물적(物的) 유통과 판매에 전문성을 갖춘 업체라야 했다.

 하지만 제주개발공사는 엉뚱하게도 유통경험이라고는 전혀 없는 보안-정보관련 업체인 ‘지아이바이오’사와의 수출-판매계약을 맺었다. 마치 ‘마도로스’에게 대형 항공기 조종간을 맡긴 격이다.  도민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계약을 강행할 때부터 삼다수 대일 수출-판매의 실패는 이미 예견되고 있었다.

 결국 예상대로 삼다수 대일 수출은 실패했고 계약은 해지 됐다. ‘지아이바이오’는 연간 4만5000t씩 5년간 22만5000t, 약 600억 원어치의 삼다수를 수출-판매키로 계약했으나 10월 현재 실적은 겨우 289t뿐이다.

 두 번째 의혹은 삼다수 대일수출 계약과 주가 폭등의 상관관계다. 지난해 9월 6일 ‘지아이바이오’사의 주가는 544원이었다. 그러나 삼다수 대일수출 계약 바로 직전인 11월 18일의 주가는 무려 5.2배나 폭등한 2815원이었다. 이 때문에 삼다수 대일 수출이 주가 띄우기의 방편으로 이용당한 것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최근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아이바이오’사(社)만 일본수출계약을 홍보하면서 주가 상승으로 돈을 벌었다”며 “이 업체가 제주개발공사를 상대로 장난을 친 것”이라고 주장한 것 등이 그 예(例)이다.

 세 번째 의혹은 상식을 벗어난 삼다수 대일수출-판매업자 선정과정에 제주개발공사 이외의 힘이 작용한 것은 아닌지 하는 점이다. 공기업인 개발공사가 독립적으로 계약 당사자를 선정했다면 이럴 수가 없기 때문이다. 경찰은 이번 삼다수에 대한 수사에서 이러한  의혹들도 밝혀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