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를 무시하고 제주지역 LNG 인수기지 건설 공사를 강행하며 논란을 부르고 있는 제주도 당국이 이번에는 추가되는 사업의 설계를 변경해 기존 애월항 2단계 개발사업 업체에 공사를 맡긴다는 방침을 세워 또 다른 논란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논란의 중심은 “특정업체에 일감을 몰아주기 위해 설계를 변경했다”는 데 있다. 이 설계 변경은 이 공사에 참여하는 지역 업체 2곳 가운데 한 곳이 우근민지사의 친인척이 운영하는 업체로 알려 지면서 '특혜 의혹'으로 번지고 있다.
이와 관련 건설업체들은 애월항 2단계 개발사업과 LNG 인수기지 건설 사업은 분리 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계해서 시행함으로써 기존 시공업체에만 막대한 이득(순수 계약금 210억원)을 안겨주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LNG 공사를 분리 발주할 경우 지역업체 참여 비율은 49%까지 확대되지만 설계 변경으로 연계 할 경우 지역업체 지분 참여율이 20%에 그친다”고 지역업체 홀대론을 제기했다.
이들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도가 도지사 친인척이 포함된 업체에 특혜를 주기 위해 설계를 변경하면서까지 일감을 모아줘 지역업체들을 죽이려 한다”는 일각의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그렇지 않아도 애월항 2단계 개발사업과 LNG 인수기지 건설 사업 연계와 관련 도감사위원회와 도당국 간 주장이 엇갈려 진실게임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도는 도감사위원회의 감사결과의 권고 사항으로 “연계추진 한다”는 주장인 반면, 도감사위는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의 진실여부는 도지사 친인척에 대한 특혜 여부를 읽을 수 있는 주요 변수가 될 수도 있다.
안타깝고 불행한 일이지만 우근민 도정 출범 후 각종 이권사업에 도지사 친인척과 연결된 특혜의혹은 계속 논란이 되어왔다. 삼다수 대리점 선정 특혜의혹, 무산됐지만 이른바 그린시티 사업 진행과 관련된 특혜설 논란 등에도 어김없이 등장했던 것이 지사의 친인척 또는 측근 개입설이다. 지사가 어떻게 처신하고 친인척과 측근을 관리해야 하는지를 일깨워주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