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삼다수가 다른 지방으로 무단반출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파문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제주도개발공사가 불법 반출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했는 지에 수사의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제주지방경찰청은 17일 중간 수사브리핑을 통해 삼다수 3만5000t 가량을 불법 반출한 혐의로 도내대리점 5개 업체 대표와 반출업체 대표 등 28명을 입건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삼다수 유통대리점의 허술한 공모 자격과 심사기준, 특혜논란 등으로 논란에 휩싸였던 제주도개발공사는 관리·감독 소홀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더욱이 제주도개발공사는 삼다수 도외 무단반출 의혹이 불거진 상황에서도 제대로 된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2차례에 걸쳐 지하수 증산을 요청한 바 있어 또 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당초 제주도개발공사는 올해 도내 삼다수 판매물량으로 4만2000t을 허가받았었다. 그러나 관광객 증가에 따른 수요증가를 이유로 지난 8월 4만1000t 늘린 8만3000t으로 허가를 받은 데 이어 10월에는 8만7240t을 허가받았다.
그런데 물량부족의 원인은 ‘수요급증’이 아니라 ‘무단반출’으로, 제주도개발공사가 개입했는 지와 이를 인지하고 있었는 지 여부에 수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로 경찰은 수사브리핑을 하루 앞둔 16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제주도개발공사와 본사와 고위직 간부 자택 3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 5개 박스 분량의 삼다수 유통과 관련한 서류와 전자파일 등을 확보했다.
경찰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오재윤 제주도개발공사 사장까지 소환 조사할 수도 있다”며 “수사를 통해 혐의가 드러날 경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히 처벌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