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안전이 걸려 있는 문제를 한 마디 말도 없이 승인해 버리다니...”
제주시가 최근 사전 주민동의 없이 평화로 변 대규모 LPG충전사업을 허가해 준 데 대해 지역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주민동의가 사업 허가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신규사업에 준하는 행정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은 제주시를 향한 비난의 화살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논란이 일고 있는 곳은 제주시 해안동 844-1번지 평화로 해안교차로 인근 대도로변.
현재 해당 사업지에선 10t 규모의 자동차 공급용 LPG충전소(부탄)가 운영되고 있다. 사업자는 ‘LPG충전사업’ 변경허가를 통해 이곳에 ‘용기충전 및 자동차에 고정된 탱크충전’이 가능한 프로판 105t 규모의 가스충전 사업을 병행 추진하게 된다.
가장 큰 문제는 사업지가 월산마을과 해안동마을 사이에 있다는 것. 더욱이 평화로는 제주도내 도로 131개 노선 가운데 1일 평균교통량이 가장 많은 곳으로, 특히 사업지가 위치해 있는 곳은 그 중에서도 통행량이 가장 많기로 손꼽히는 구간이다.
때문에 대형 폭발사고 가능성이 도사리고 있는 위험시설물을 사전 주민동의 없이 허가를 내준 데 대해 주민들은 단단히 화가 난 상태다. 게다가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던 주민들도 여럿 있었다.
월산마을 주민 A씨는 “제주시가 사업변경 허가 과정에서 충분히 주민들과 협의하거나 공지해 줄 수 있었음에도 이 같은 사실을 알리지 않은 것은 주민안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위험시설에 대한 허가가 어떻게 주민도 모르는 사이에 날 수 있는 건지 도통 이해가 안 된다”고 분개했다.
송권식 월산마을회장도 “사전에 주민설명회 조차 한 번 열지 않고 어떻게 사업허가를 내줄 수 있는 지 모르겠다”며 “특히 월산마을의 경우 사업지와 거리상으로는 해안동마을보다 더 가깝다”고 말했다.
송 회장은 이어 “제주시 뿐만 아니라 해당 사업자가 동의를 구한 적도 없었고, 사업허가와 관련한 얘기 조차도 꺼낸 적이 없다”며 “아무런 공지도 없이 일방적으로 처리를 해서 주민들이 더 반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주민들은 예전부터 노형동 외곽지 마을에 위험시설물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해 왔었다”며 “앞으로 해안동마을 등과 논의를 해서 강력한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