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 부추기는 행정편의
환경파괴 부추기는 행정편의
  • 제주매일
  • 승인 2012.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정당국은 기회 있을 때마다 ‘친환경 개발’을 되뇌어 왔다. 환경 친화적 사업 추진으로 훼손되는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자연의 원형을 보존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행정당국의 되뇌임은 그야말로 구두선(口頭禪)에 그치고 있다. 오히려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환경파괴에 앞장서고 있다.

 최근 산불진화용 헬기 방화수 공급용으로 개발하는 ‘물가두기 사방댐 건설 사업’도 자연환경 보호와 자연보전에 대한 고민도 없이 행정편의 주의적 발상으로 추진하는 ‘자연환경 파괴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서귀포시는 지난 6월부터 남원읍 수망리 물영아리 오름 북쪽에 위치한 자연습지 ‘송천’에 저수용량 1만6000톤 규모의 ‘물가두기 사방댐’ 공사를 하고 있다.

 자연생태 습지 ‘송천’ 주위에 콘크리트 벽을 쌓아 물을 가두겠다는 공사다. 이곳 공사에 투입되는 중장비의 이동을 위해 주변 수목을 베어냈다. 자연생태 습지 퇴적지를 준설하면서 고유 식생대까지 무차별 파괴하는 공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당연히 하천의 원형은 심각하게 훼손됐다. 송천 습지 양안의 우거졌던 나무들은 잘려나갔다.

 그런데 서귀포시가 현재 공사 현장 인근에 산불진화 비상 급수를 받을 수 있는 17만톤 저수량 저장 능력의 저수지가 있는데도 이의 10%도 안 되는 물을 가두기 위해 멀쩡한 자연환경을 파괴하면서 거액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서귀포시는 17만톤 저수용량 저수지는 행정구역 상 제주시에 위치해 서귀포 행정구역내 별도 저수지가 필요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황당한 변명을 하고 있다. 산불발생 등 비상 상황에서 행정구역 소재가 무슨 소용인가.
 
 그것이 자연생태 환경을 무자비하게 파괴하고 국민혈세 낭비를 정당화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어처구니없는 행정편의 주의에 의한 환경파괴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