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가이드를 추가로 늘리기 이전에 무자격 통역가이드 단속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제주지역 중국어 통역가이드들이 25일 제주도청을 찾아 무자격 통역가이드들에 대한 제대로 된 단속도 하지 않으면서 엉뚱한 정책방향을 내놓은 데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다.
앞선 지난 19일 제주발전연구원 신동일 연구위원은 ‘제주지역 관광통역안내사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함에 따라 통역가이드를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고 제시한 바 있다.
신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올해 57만명 기준으로 356명, 70만명 기준 438명, 100만명 기준 625명, 150만명 기준 938명의 통역가이드가 필요하다고 밝혔었다.
이에 이춘화 중국어통역가이드협회장은 “지난해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 57만명 중 47만명은 육지부에서 가이드를 대동해왔다”며 “순수 노비자로 제주에 온 사람은 10만명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지금의 인력으로도 충분히 안내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 도내 중국어 통역가이드는 129명으로 대부분이 한 달에 15일 정도만 근무를 하고 있을 정도로 일거리가 없다”며 “때문에 가이드 추가 선발보다는 불법 가이드를 고용하는 여행사들에 대한 단속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은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통역가이드 선발시험에 대해서도 강력 반발했다.
이 회장은 “지난 9월에 치러진 중국어 통역안내사 시험에 3500여 명이 응시해 2500여 명이 합격하는 등 60%이상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며 “이 같은 합격률만 보더라도 제주도가 추진하는 자체 가이드 시험은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도는 최근 도내 자체 통역안내사 자격증 제도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