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논 복원, 이젠 정부도 외면 못할 것
하논 복원, 이젠 정부도 외면 못할 것
  • 제주매일
  • 승인 2012.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 정권 5년 내내 제주도는 괄시(恝視)만 받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말이 제주특별자치도요 국제자유도시이지 특별하지도, 자치적이지도, 국제자유적이지도 않았다. 이명박 정권의 제주 괄시가 어느 정도냐 하면 자신의 대선공약(大選公約)인 화급(火急)한 제주신공항 건설마저 거들떠보지 않았다. 서귀포시 제주혁신도시에 대한 무관심도 마찬가지다.

 서귀포 하논 분화구는 어떤가. 세계적으로 희귀하고 아름답고 학술 가치가 높은  ‘마르형 분화구’를 복원 ? 보존하자는 운동이 여러해 전부터 있어 왔지만 이 정부는 외면했다.

 그러나 보라.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제주에서 열리는 ‘2012 회원총회’에서 하논 분화구 복원 ? 보존 권고 결의문을 투표에 부쳐 가히 만장일치와 다름없는 절대적인 지지로 통과시키지 않았는가. 회의 참석 정부기구는 찬성 119표 반대 0표 기권 18표, 비정부기구(NGO)는 찬성 488표 반대 4표 기권 38표로, 평균 99%를 뛰어 넘는 지지를 보냈다.

 하논 분화구는 5만 년 전, 지각변동 과정에서 형성된 마르형 화구호수(火口湖水)로 지구생태계의 변천 역사가 축적 된 곳이다. 그러나 과거 500여년 이래 농경지로 활용되면서 지층을 포함, 주변의 식생대가 상당 부분 파괴되고 말았다. 이번 ‘세계자연보전총회’가 ‘하논 권고 결의문’을 채택한 것은  분화구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하논 권고 결의문’ 중에는 “대한민국 정부에 대해 하논 분화구의 자연환경 복원 종합대책을 수립, 보전 대상지가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 관리 및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활용프로그램도 친환경적으로 운영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제 정부는 싫더라도 이 권고 결의문을 이행하지 않으면 안 될 국제사회에서의 도덕적 책임을 떠안지 않을 수 없게 됐다. 하논 분화구의 복구 ? 보전을 위해서는 사유지 매입비만도 1000억 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 이 사업을 조속히 국책사업으로 추진 해 주기 바란다. 사족(蛇足)이지만 제주신공항도 환경보전 사업이라면 그 화급성(火急性)에 비춰 제주세계자연보전총회에서 만장일치 권고 결의문으로 채택 됐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신공항은 ‘자연보전총회’에서의 논의 대상이 아닌 것을 어쩌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