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경제 산업별 명암
제주 경제 산업별 명암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2.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 증가 및 농·축·산업 호조…고용개선 악화
관광산업 증가세 둔화 및 건설활동 부진 이어져

최근 제주경제는 소비가 증가로 전환되고 농축수산업이 호조세를 보였으나 고용개선 추세는 악화되고 관광산업 증가세는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활동도 부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내놓은 ‘7~8월 제주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7월 중 제주지역 소비는 신용카드 사용액 및 대형소매점 판매액이 늘어나면서 증가로 전환됐다.

도민들의 전반적인 소비지출의 흐름을 나타내는 신용카드 사용액(전년 동월 대비 6월 △3.9%→7.5%)은 가전제품과 컴퓨터 및 통신기기 등 내구제를 중심으로 증가로 전환됐다. 대형소매점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1% 증가했다.

전통시장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시장경기동향지수(61→ 7.5%)는 크게 하락했으나 소비자심리지수(106→107)는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7월 중 건설활동은 건설수주액, 건축허가 및 착공면적이 모두 감소로 전환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건설수주액은 지난 6월인 경우 전년 동월 대비 40.2% 증가했으나 7월 들어서는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줄어들면서 59% 급감했다.

건축허가면적(30.6%→10.7%)과 착공면적(13.8%→△40.2%)도 주거용 부진으로 모두 감소로 전환됐다.

이와 함께 8월 중 관광산업은 관광객수 및 관광수입 모두 증가세가 둔화됐다. 이는 내국인 관광객의 감소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8월 내국인 관광객수는 69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1% 감소했다. 관광수입은 6070억원으로 외국인 관광수입이 크게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내국인 관광수입의 부진으로 증가세가 둔화(7월 33.6%→19.5%)됐다.

7월중 농산물 출하액은 전년 동월 중 출하액이 크게 줄어든 데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로 전환됐고, 축산물 출하량은 돈육 출하가 호조세를 이어가면서 증가세가 지속됐다. 수산물 출하량도 갈치(6월 △54.1%→11.9%) 어획이 호조를 보인데 힘입어 증가로 전환됐다.

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음료가 늘어난 반면 비금속광물이 감소로 전환되면서 증가세가 둔화(6월4%→0.7%)됐다. 출하는 비금속광물이 감소했지만 식료품 및 음료가 늘면서 증가세가 확대(1.4%→6.4%)됐다.

고용은 취업자수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는 등 개선추세가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8월 중 취업자수는 29만1300명으로 1500명 감소했고 고용률은 전년 동월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