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환경보전총회(WCC)가 6일째로 접어들었다. 각 분야별 주제에 대한 워크숍 등 토론이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진행되는 이른바 ‘제주형 의제‘에 대한 논의도 뜨겁다. 특히 ’제주형 의제‘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제주 세계 환경수도 모델 도시 조성 및 평가 인증 시스템 구축 방안‘ 주제의 워크숍에서는 전문가 그룹의 조언이 잇따랐다.
“세계환경수도는 환경의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경제적 요소를 포함시키고 환경 사회 경제의 요소들 간의 상호 메커니즘에 기초한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세계 환경수도 조성’을 전제한 국내 환경전문가의 조언이다.
이에 반해 ‘세계환경수도 개념’의 모호성 등 실체에 의문을 제기한 해외 환경전문가의 지적도 있었다. IUCN 아시아 사무소 수석고문인 자킬 후싸인(Zakil Hussain)박사는 “지금까지 한 도시를 환경허브, 생태도시, 녹색도시 또는 지속 가능한 도시라고 인정해 주는 범지구적 체계는 없다”고 했다. 제주가 추진하는 환경수도의 개념정립이나 추진방향 등에 대한 의문을 내보였다.
박사는 “제주도가 왜 세계환경수도를 조성하려는 지에 대한 논거의 실체, 재정능력, 정치적 의지, 정책과 규제도구, 시민들의 합의와 참여 정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그러면서 토지이용, 에너지 이용, 물 관리, 오염통제, 교통, 주택 및 건축 환경, 제도, 위기관리, 시민참여 등 환경수도가 갖춰야 할 12가지 구성요소를 제시했다.
이 같은 의견 제시는 도 등 정책 당국과 제주 세계환경수도 조성을 자문하는 도내외 전문가 그룹이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먼저 명확한 세계환경수도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뒷받침 할 구체적 인증 및 인정 체계 구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개념도 모호하고 실체도 없는 세계환경수도에 매달려 정력만 낭비하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