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GRDP(총 생산) 전국 16개 시.도중 최하위권, 재정 자립도 30% 내외, 500만명 선을 넘지 못하는 관광, 제주국제자유도시와 비슷한 개념의 다른 지방 특구 등장 등 제주도가 뒷걸음질을 하고 있다.
상주 인구 100만시대도 요원하다.
규모의 경제를 이루려면 제주시 50만명, 서귀포시 20만명 등이 유지돼야 한다는 분석속에 제주 도정은 '100만 제주'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으나 다른 지방 주민들을 끌어 들일만한 매력이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10년 사이 제주도를 둘러싼 각종 환경이 급속도로 악화된 반면 제주 도정은 변변한 대응책 하나 없이 '무소신 복지부동'으로 흘러온 탓이라는 지적이 팽배한 가운데 도민의 역량을 하나로 집결시키는 동시에 이를 제주도의 발전에 연결하는 '도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마련돼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 및 특별자치도 추진을 '도정의 1순위'로 삼아 행정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제주도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고 장담하고 있지만 다른 지방과의 차별성에는 의구심을 낳는 실정이다.
이미 다른 지방에 경제특구 등이 조성됐고 부산시도 '특별시'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1국가 2체제'에서 실현성을 들어 다른 지방과의 차별성에 초점을 모은 '국제자유도시 및 특별자치도'가 완성된다해도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정확한 판단을 구해야한다는 주장마저 일고 있다.
감귤과 함께 제주도 경제를 떠받치는 관광산업도 총체적 위기다.
가격 경쟁력 상실, 금강산 육로관광 개시 및 북한내 다른 지역 개방 가능성, 강원도의 부상 등으로 제주가 '가고픈 관광지' 후 순위가 된지는 이미 오래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이나 접근보다는 제주 도정은 '500만명'이라는 숫자에 연연하면서 '무조건 외연만 넓히자'는 입장이다.
또한 내국인 카지노 단지는 '전 도민의 적극적인 지지'속에 유치에 성공한 강원도와는 정반대로 제주도는 '반대여론'에 밀려 제대로운 논의조차 피해 버렸다.
더욱이 '우주개발 센터'라는 대규모의 국책사업도 도내 찬반여론이 비등한 사이에 당시 집권여당 중진 국회의원이 '전남 고흥'으로 끌어갔다.
이 사업들의 타당성은 제쳐두고 도민들은 "제주도의 미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되는 대규모 사업들이 '대안 없는 반대'와 도정의 '골치 아픈 일 피하기'로 집중적으로 논의해본 바조차 없다"면서 "고민도 하지 않고 추진도 없이 '보기 좋은 일'만 하겠다는 모습으로 지속된 도정이 제주를 후퇴시켰다"는 입장으로 올해 김 도정의 방향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