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열망에 찬물 끼얹는 재계 수장
경제민주화 열망에 찬물 끼얹는 재계 수장
  • 제주매일
  • 승인 2012.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그제 기자간담회에서 “정치권에서 들고나온 경제민주화의 모호한 개념이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고 한다. 경제민주화는 여야 정치권이 대선의 핵심 공약으로 제시한 시대적 과제다. 새누리당의 여론조사에서도 국민 10명 중 8명이 지지하는 것으로 나올 정도다. 국민들의 열망에 찬물을 끼얹는 외계인 같은 발언으로 대단히 실망스럽고 깊은 괴리감이 든다.

허 회장은 경제민주화 입법 움직임에 제동을 걸기 위해 작심하고 그런 말을 한 듯하다. “경제민주화는 기존 법률로도 충분히 성취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일부 기업 잘못으로 전부가 부정적 모습으로 비치는 게 안타깝고 그런 부분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을 이었기 때문이다.

앞서 전경련은 한국규제학회와 함께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률안에 대해 규제의 적정성 감시 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혀 입법권 침해 논란을 낳은 바 있다. 허 회장의 발언은 그 연장선상에서 국회의 상생입법 움직임에 제동을 걸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규제의 적정성 여부는 국회의 법률안 심의 과정에서 충분히 논의되고 다양한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결정되는 게 맞다. ‘기존의 법률’로 못박고 나선 것은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겁박으로 받아들일 만한 내용이다.

경제민주화의 핵심은 대기업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정한 경쟁과 상생이 가능한 사회경제 구조를 만들자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재벌의 지배구조를 개혁하고 변칙·특권이 기승을 부리는 불공정 관행을 근절해야 한다. 기존의 법률로 가능한 부분도 있지만, 새로운 시장 규율로 바로잡아야 할 부분이 적지 않으며 이는 이미 세계적 흐름이 돼 있다. 이를 기업규제론으로 막으려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다. 재벌 대기업의 잘못된 행태가 끊이지 않고 튀어나오는데 일부 기업의 잘못이 부풀려진 것처럼 상황을 호도해서는 안 된다.

경제민주화를 차라리 반대한다면 모를까 그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투의 화법은 오만하고 불성실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지도적인 위치에 있는 재계 수장이라면 마땅히 논리적인 찬성이나 반대로 진지하게 논의를 열어가야 한다. 모른다는 표현은 무시·폄하 의도로, 그런 말을 꺼내지도 말라는 황제경영의 오만함이 느껴진다. 이건희 삼성 회장이 초과이익공유제라는 말이 이해가 가지 않고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했던 것과 다르지 않다. 시대적 요구를 외면하고 책임을 회피하려 들다간 더 큰 저항에 부닥칠 수 있다.

[7월27일 한겨레]


Business leaders should respect the demands for economic democracy

Talking with reporters a few days ago,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FKI) chairman Huh Chang-soo called the concept of the economic democracy "vague" and said, "I'm not even sure what it means."

This concept is a key contemporary issue that both ruling and opposition party politicians have been offering as a key pledge for the upcoming election. Even the ruling New Frontier Party's polls are showing eight in ten South Koreans in support of it. It is disappointing and embarrassing to see Huh working to dash their hopes with such a bizarre statement.

His words seem to have been based on a decision to try to halt a push for economic democracy legislation. Subsequent remarks suggested a context for them, when he said, "I think we can get enough economic democracy with existing laws." He also said it was "unfortunate that the mistakes of a handful of companies make everyone look bad".

The FKI courted controversy once before when it came out with the Korea Society for Regulatory Studies saying it would step up monitoring of the suitability of regulations in legislation proposed by National Assembly members. At the time, critics called this a violation of legislative authority. Huh's latest remarks continue in this vein in what seems to be an attempt to prevent the National Assembly from introducing "share the wealth" legislation. However, the matter of regulatory suitability is something to be discussed and decided on through National Assembly review and the gathering of public opinion. The talk about "existing laws" could well be seen as an act of intimidation against a parliamentary democracy.

At the heart of the economic democracy debate is a call for increased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on the part of corporations, and a socioeconomic structure that permits fair competition and shared gains. For this to happen,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conglomerates need to be reformed, and rampant foul play and special treatment rooted out. Some of that can be done with existing laws, but a lot of it will require new market rules which are already under way all around the world.

Those who think we can do the job with corporate regulations are behind the times. It is wrong to paint this as a mountain being made from a molehill of company missteps when these practices are routine at conglomerates.

It would be one thing if Huh simply said he opposed the push. When he says he does not even understand what it means, he should give serious thought to how arrogant and insincere that makes him look. A business leader like him needs to start the debate seriously with a logical position for or against. The talk about "not understanding" comes across as dismissive or contemptuous, the arrogance of an imperial manager who would prefer such language not to be used around him. It is no different from when Samsung chairman Lee Kun-hee said he "couldn't understand" the concept of a surplus profit sharing system.

These attempts to disregard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duck responsibility could leave them facing even greater resistance in the days ahead.



김영환 고문, 중국과 우리 정부의 책임 무겁다

정부는 중국과 김씨 석방을 교섭하면서 남북관계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과 대중관계의 중요성을 염두에 뒀을 수 있다. 무엇보다 김씨의 빠른 석방에 중점을 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도 인류 보편 가치인 인권을 저버리지 않는 한에서만 유효하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인권과 대중관계를 동시에 살리는 방향에서 김씨 고문 문제를 현명하게 풀어가기 바란다. 그 과정에서 책임질 사람이 있다면 준엄하게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7월31일 한겨레]

Need strong, judicious approach to alleged torture by China

It may be the case that Seoul’s negotiation of Kim’s release took into account China’s influence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importance of its relationship with Beijing. Indeed, the emphasis may have been on getting Kim out as quickly as possible. But this only works when it is not ignoring the matter of human rights, which is a basic human value. We urge the government to approach the torture allegations judiciously, in a way that addresses the matter of human rights while also preser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China. If the process turns up evidence that someone should be held accountable, then we must do so sternly.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