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찾기 녹록치 않다"
"일자리 찾기 녹록치 않다"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2.0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제조업, 하반기 신규 인력 채용 규모 축소

경기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되면서 하반기 일자리 찾기도 그리 녹록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도내 제조업체들의 인력수급난이 여전하지만 신규 인력 채용 채용규모가 줄어든 데다 생산직 중 단순 근로자 채용계획 비중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본부장 류길상)가 도내 중소제조업체 43개사를 대상으로 ‘하반기 인력 채용 현황조사’를 벌인 결과 중소기업 65.1%가 하반기 채용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평균 채용계획 인원은 3.4명으로 상반기 4.8명 보다 1.4명이나 적었으며, 직종은 생산직 2.8명, 사무직 및 기타 0.4명, 연구개발 0.2명 등으로 생산직 인력에 대한 채용수요가 가장 높았다.

특히 생산직 중 기술직은 0.5명, 기능직 0.8명, 단순 근로자 1.5명 등으로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노동 강도가 세서 기피하는 단순 근로자의 비중이 가장 컸다.

채용계획 이유에 대해서는 기업의 57.1%가 ‘자연감소인원에 대한 충원’을 들었다. 이어 ‘현재인원의 절대적 부족’(42.9%), ‘우수인력의 확보’(10.7%)의 순으로 응답했다.

채용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적정인원을 유지’하고 있다는 업체가 73.3%에 달했고 그 밖에 ‘높은 인건비 부담’(33.3%), ‘경기전망 불확실’(26.7%)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절반 이상인 51.2%가 인력이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족한 인력 대응 방안으로는 ‘정규직 신규채용’(36.4%)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는 업체가 가장 많았지만 ‘근무시간 연장’(22.7%)과 ‘임시직 및 파트타임 활용’(22.7%) 비중도 상당히 높았다.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업체는 13.6%였다.

신규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는 ‘적합한 적임자나 경험자가 없어서’(62.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인식으로 근무기피’(37.5%), ‘임금 및 복리수준이 낮음’(22.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류길상 본부장은 “상반기 채용실적보다 하반기 인력채용 계획이 적고 현재 인력이 적정상태라는 응답비율이 높다는 것은 경기악화가 예상되어 신규인력의 추가 채용이 불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 본부장은 이어 “하반기 경기전망이 밝지 않아 경기침체 와 일자리 감소가 예상되고 고용보조금 및 세제지원 등의 정부지원 요구의 목소리가 높은 만큼,  보다 실효성 있는 고용지원으로 기업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일자리 창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