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는 중문관광단지 민간 매각 절차를 착착 진행하고 있다. 아마도 다음 달 초쯤 우선 협상대상자를 선정, 단지 매각에 들어갈 모양이다.
이렇듯 중문관광단지 민간 매각이 초읽기에 들어가자 장기간 이를 반대해 온 제주도내 각계 각층의 ‘매각 저지운동’도 더욱 가열되고 있다. ‘중문관광단지 살리기 서귀포 범시민운동본부’는 12일 한국관광공사 제주지사 앞에서 반대 집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이들만이 참석한 것이 아니다. 제주도 의회 위성곤-김용범-김경진-현정화 등 다수의 의원들과 심지어 단지 입주업체 관계자, 일반 주민 등 300여명이 몰려 ‘매각 백지화’를 요구했다.
이날 이들의 주장은 결코 억지가 아니다. “피땀 어린 내 땅 뺏고 민간매각 웬 일”-“특정 업체 특혜 주는 매각 반대”-“단지 조성 완료까지 매각 유보”-“정부가 투기꾼이 아니라면 매각 중단” 등이다. 관광공사에 묻는다. 어느 대목이 억지인가. 만약 여기에 억지가 없다면 관광공사는 당연히 이들의 요구대로 최소한 단지 조성 완료 때까지 매각을 중단해야 옳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관광공사는 매각 백지화는커녕 도리어 거기에 매달리고 있으니 정말 못됐다. 물론, 관광공사로서도 할 말은 있을 것이다.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정책이 그러하니 어쩔 수 없지 않으냐”고 말이다.
하지만 현재 공정률 60%에 불과한 관광단지를 중도 매각하는 것이 ‘공기업 선진화 방안’이라면 그것은 ‘수행해야 할 정책’이 아니라 ‘거부해야할 정책’이다. 중문관광단지 ‘선진화’가 아니라 ‘후진화’요, ‘퇴보’이기 때문이다.
그 뿐이 아니다. 국민이 신뢰하는 정부가 되려면 조상 대대로 피땀 흘려 물려받은 땅을 상당 부분 30여 년 전 강제로 매수할 당시의 약속을 지켜주어야 마땅하다. 지금도 중문관광단지를 쳐다보며 한숨짓는 주민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고나 있는가. 특히 현재 “3.3㎡당 150만원~300만원 하는 관광단지 내 땅을 20여 만 원에 매각하려는 것은 특혜”라는 설이 사실이라면 이는 더더욱 안 될 일이다. 도민 반대만으로 매각 저지가 어렵다면 제주도가 나서야 한다. ‘중문단지 개발사업 시행자 변경’ 및 ‘사업계획 변경’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제주도의회도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