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60여년이 지났어도 그렇다. 4.3의 한(恨)과 상처가 도민들 골수에 사무쳐 지워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4.3은 제주도민의 영원한 가슴앓이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이 같은 한과 아픔을 영원히 안고 살아갈 수는 없는 일이다. 한을 풀고 상처를 치유해야 제주가 하나 되어 제주사람이 온전하게 살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지난 2000년 제주4.3의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을 위한 4.3 특별법이 제정되고 2003년 정부의 4.3사건 진상보고서가 발행된 후 10여년이 지났으나 아직까지도 조사하고 밝혀내야 할 4.3의 그림자는 처처에 드리워졌다.
이렇게 60여년 이상을 어둠속에 묻혀 있던 진실을 파헤치고 햇빛에 드러내야 4.3치유는 가능해 지는 것이다.
최근 제주4.3평화재단이 진상조사단을 구성, 추가진상조사에 착수한 것도 어둠속에 묻혀진 4.3의 실체적 진실을 파헤쳐 4.3의 상처를 치유하고 4.3의 한을 풀어보자는 데 있다.
4.3진상조사단은 그동안 미흡했던 4.3진실 규명 작업을 돌아보고 자료조사와 함께 마을별 피해 실태에 대한 현장조사, 불법재판에 의한 행방불명 희생 실태, 연좌제 피해에 대한 주제별 조사를 실시한다는 것이다. 사실 지난 2003년 정부가 4.3진상보고서를 내놓자 미흡한 부분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군사독재 등 권위주의 시대에 4.3은 침묵이 강요된 금기사항이었다. 그러기에 4.3에 관한한 제주사람들은 가타부타 입을 열수가 없었다. 이처럼 강요된 침묵 속에 4.3의 진실을 규명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정부의 4.3진상보고서가 “미흡하다”는 평가도 여기서 비롯됐다고 보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제주4.3추가진상조사에서는 이렇게 침묵 속에 가려졌던 부분을 밝히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진상조사 과정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적 사고보다는 제주도민 모두가 피해자라는 인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번 4.3추가진상 조사가 4.3을 확실하게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