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暴’예방, 교육 내용부터 바꿔야
‘學暴’예방, 교육 내용부터 바꿔야
  • 제주매일
  • 승인 2012.0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학교폭력은 이제 사회적 문제를 뛰어 넘어 국가적 중대사(重大事)가 되고 말았다. 미래 국가 동량(棟樑)인 청소년들의 배움터 학교 안팎에서 학교폭력이 난무하고 있다는 것은 우려와 함께 매우 슬픈 일이다. 이는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 모두의 장래에 큰 상처를 남기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엄청난 손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시도 교육행정 당국, 일선 학교, 그 외 관련 당국에서는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격이거나 대증요법(對症療法)식, 처벌 위주식 처방이 있을 뿐 원인을 치유할 수 있는 근본방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2

 교육과학 기술부가 학교폭력 예방대책으로 내놓은 것도 그렇다. 가해 학생으로 처벌 될 경우 졸업 후 초-중학생은  5년간, 고등학생은 10년간 학교생활 기록부에 기록해 둔다는 것이다. 일선 학교도 마찬가지다. 가장 현실성 있는 학교폭력 대책으로 내 놓은 것이 ‘가해 학생 전학시키기’다. 경찰 역시 학교폭력이 학내외(學內外)에 미칠 해독성(害毒性)을 고려, 심할 경우 구속 등 강경 처벌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경향이다.
 이렇듯 대부분의 학교폭력 대책들이 이미 사건 발생 후의 사후약방문식이며 근본 원인 치료를 외면한 대증요법에 머물고 있다. 물론, 관계기관 별로 학교폭력 사전 예방 프로그램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설사 있더라도 근본적 해결책과는 거리감이 있는 것들이다.
 우리는 학교폭력을 그 원인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내용부터 획기적으로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초-중-고-대학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최고 가치인 ‘인격 완성’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방향의 큰 틀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국사-사회윤리 교육에 더 중점을 둬야한다. 특히 초-중-고교와 대학 교양과정에는 국사를 선택이 아닌 필수과목으로 교과를 전면 재편성해야 한다. 현재도 부분적으로 국사를 필수로 하는 예가 있지만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이러한 교육 방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정부-기업-대학 등의 협조가 있어야 한다. 우선 모든 국가고시와 취업시험, 대학 입시에는 국사가 필수과목이 되도록 해야 한다. 국사를 공부하고 안다는 것은 학생들의 인격도야에 크게 작용한다. 그리고 윤리도 그렇지만 국사 시험 문제는 선택형이 아닌 주관식, 즉 논술로 치르게 하는 것이 인격형성에 더 도움이 된다.
 사실 다른 과목도 특별한 과목이 아니라면 논술 형이 좋다. 그래야‘재수보기 선택형’이 돼가는 청소년 학생들의 인격의 틀을 벗어나게 할 수가 있다.
 국사-윤리교육의 강화와 더불어 병행 실시해야 할 학교 교육은 입시위주교육의 탈피, 취직 목적 교육의 탈피, 돈이 최고라는 식의 교육의 탈피, 학생들의 인성(人性)을 해치게 하는 정치나 이념의 도구(道具)화 교육의 탈피여야 한다.
 
                                 3

교육의 최고 목표가 사람을 만드는 것이라면 학교 교육의 교과과정도 거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현재의 교육내용에 변화가 없는 한 학교폭력 예방은 백년하청(百年河淸)이다. 정부와 교육당국, 교육내용, 일선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원들이 먼저 변해야 예비 학교폭력배들의 변화를 기대할 수가 있다. 대통령, 장관, 국회의원, 판-검사, 도지사, 기자도 먼저 ‘사람’이 돼야 한다. 그들도 사람이 되지 못하면 공적(公敵)의 범주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학생들을 사람다운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교육부요, 학교요, 교원인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