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에 개점하는 편의점 수는 급증하는 반면 골목상권 점포 수는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유통업체들에 의해 골목상권 시장이 급속도로 잠식되면서 편의점 신규 개설과 기존 매장 확장을 제한하는 유통업 총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상공회의소(회장 현승탁)는 20일 ‘골목상권 살리기 연구용역 결과’를 통해 전반적인 실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번 용역은 제주상의가 지난 8월 제주대에 의뢰해 시행한 것으로 대기업의 편의점 확장 추세에 따라 급속히 위축되고 있는 골목상권을 보호,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진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0월 현재 도내 편의점 수는 533개로 지난해 346개보다 54%나 급증했다. 지난해에도 전년 249개보다 39% 증가하는 등 최근 급증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도내 편의점 점포수는 2004년 157개에서 2010년 346개로 연평균 14.1% 증가했다. 이는 전국 연평균 증가율 12.7%보다 1.4%p 높은 것이다.
특히 지난해 편의점 1곳 당 인구수는 1650명으로 전년 2261명보다 611명 감소했다. 편의점 당 가구수는 650가구로 전년(876가구)보다 226가구 줄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로 인구와 가구수에 비해 편의점 출점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는 것이다.
반면 제주도체인본부협의회에 가입된 골목 수퍼마켓은 지난 2007년 1254개소에서 올해 5월 현재 819개소로 4년 새 무려 435개소(34.7%)나 감소했다.
지역 골목점포 상인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상인들은 골목상권 침체 이유에 대해 대형마트 진출(86.2%)과 대기업 편의점 확대(83.9%)를 꼽았다.
이어 ‘경기침체’ 62.7%, ‘소비자의 취향과 생활스타일 변화’ 56.9% 등의 순이었다.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설개선 지원’(21.5%), ‘체인본부 공동마케팅 활성화’(17.8%), ‘편의점 점포증설 차단’(17.6%) 등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골목상권 자생력 강화 방안으로 ▲기업가 정신 함양을 위한 상인교육 ▲공동마케팅(공동구매.공동판매.공동물류.공동창고 등) 강화 ▲골목상권 수퍼바이저제 도입(개별점포교육 및 컨설팅 지원) ▲PB 상품 개발 지원 ▲서비스 차별화 방안 강구 등을 제시했다.
제도적.행정적 지원 방안으로는 ▲신규 개설 및 기존 매장면적의 확대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유통업체 총량제 도입 추진 ▲편의점을 대규모 점포의 범주에 포함되도록 하는 유통산업발전법 등 제도개선 추진 ▲간판 및 점포디자인 등 시설 개선 지원 등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