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제학년 제학력 갖추기 평가’(이하 제학력 평가)의 계속 시행 여부를 놓고 찬반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가 지난 7일 제주도교육청의 내년도 예산안 계수조정을 통해 제학력 평가 관련 예산 1억9144만원을 전액 삭감한 데 대해 교육계 안팎에서 환영과 우려의 목소리가 교차하고 있다.
‘교육 공공성 강화와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제주교육연대’는 15일 오전 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0년간 실시해 온 제학력 평가에 대해 재검토할 때가 됐다”며 교육위의 관련 예산 삭감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제학력 평가는 2002년부터 도내 초등 4~6학년,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연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고 있다.
참교육제주학부모회 등 도내 32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제주교육연대는 “전국 일제고사와 더불어 제학력 평가 시행으로 제주지역 학생들의 시험 부담감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며 “초등학교 공교육은 아이들의 기초.기본교육과 바른 인성교육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사회는 단답형 문제를 잘 찍는 사람이 아니라 창의적이며 문제 해결력이 뛰어난 사람을 원한다”며 “따라서 제주 교육정책도 흥미와 배움을 유발하는 창의.인성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학력 평가에 찬성하는 도내 학부모 70여명은 같은 시각 도의회를 찾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제학력 평가 예산을 부활시켜 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제학력 평가가 폐지되면 아이들의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객관적 평가 시스템이 사라져 농어촌 지역의 학력 약화와 사교육비 증가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교육계 안팎에서 제학력 평가 관련 예산을 놓고 상반된 입장을 보임에 따라 예결특위의 계수조정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앞서 제학력 평가와 관련해 제주도초등교장협의회와 제주도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 제주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13∼14일 기자회견과 성명서를 통해 계속 시행을 주장했고, 전교조 제주지부는 폐지를 요구했다.
전국 16개 교육청 가운데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제학력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곳은 제주를 포함해 4개 교육청뿐이다.
한편 지난해에도 제학력 평가 예산이 도의회 교육위원회에서 전액 삭감됐으나 예결특위에서 전액 부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