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병원 김상림 교수, '도내 최다'

무릎인공관절 수술은 닳아 없어진 연골에 인체에 해가 없는 인공물을 관절이 있던 부위에 삽입하는 수술로 약물치료나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 시행된다.
김 교수는 “예전에는 무릎인공관절 수술을 위해 서울로 가는 도민들이 많았으나, 이제는 오히려 서울에서 수술하러 내려오는 환자가 있을 정도”라며 “특히 작년 보건복지부 선정 류마티스 및 퇴행성 관절염센터가 본격적으로 문을 열게 되면 관절염으로 고생하는 도민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류마티스 및 퇴행성 관절염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 교수는 서울대 의대에서 정형외과를 전공했으며, 제주대병원 2.3대 병원장을 지냈다. 그동안 슬관절 및 인공관절 성형술 관련 SCI급 논문을 다수 발표해 올해 미국인명정보기관(ABI) 발행 세계인명사전에 등재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