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이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과 관련해 “지역주민 의견을 최우선적으로 반영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통폐합 대상 학교에 포함됐더라도 다른 학교와 통합하거나 분교장으로 개편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학부모와 마을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해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제주도교육청은 24일 소규모 학교 통폐합 추진과 관련해 “획일적 기준을 가지고 무리하게 추진하겠다”고 천명했다.
앞서 도교육청이 지난 9월 발표한 소규모 학교 통폐합 추진계획에 따르면 내년부터 오는 2014년까지 통폐합 대상 초등학교는 본교 12곳, 분교장 2곳 등 모두 14개교에 이른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적정규모 학교 육성 방안’에 따른 것으로 본교의 경우 학생 수 60명 이하, 분교장은 20명 이하인 학교가 통폐합 대상에 포함됐다.
우선 내년 통폐합 대상에는 풍천초교, 수산초교, 가파초교 등 3개교가 포함됐다.
이에 일부 지역주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했고, 도교육청은 논란이 확산되자 일방적으로 통폐합을 추진하지는 않겠다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이와 관련해 조한신 도교육청 행정국장은 “학교를 폐지하고 다른 학교와 통합하거나 분교장 개편을 통해 학교를 존속시킬지 여부는 학부모와 마을주민들의 의견을 존중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수산초교는 지난달 학부모총회에서 결정한 대로 내년에 분교장으로 개편될 것으로 보인다.
풍천초교는 다른 학교와의 통합과 분교장 개편을 놓고 지역주민들이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만일 분교장으로 개편할 경우 본교를 어느 학교로 둘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다.
학생 수가 10명 미만인 가파초교는 당초 계획대로 내년 분교장으로 개편될 전망이다.
통폐합 학교는 본교에는 20억원, 분교장엔 10억원, 분교장 개편 학교엔 1억원의 재정 인센티브가 지원된다.
조 국장은 “학교 살리기 노력 여하에 따라 통폐합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유보될 수도 있다”면서 “학생수 변동 상황과 복식학급 운영 여부 등 교육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매해 가장 열악한 학교 2~3개교만을 대상으로 통폐합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