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지역 발전의 기초가 되는 인구수와 노령 층 인구 구성, 사망-출생률부터가 지나치게 불균형하다. 올해 9월 말 현재 제주도 전체 인구는 58만2283명이다. 이 중 서귀포 인구가 15만5633명으로 26.7%에 불과하다. 나머지 42만6650명은 제주시 인구다. 산북 지역에서 제주도 전체 인구의 73.3%를 독식(獨食)해 버린 셈이다.
문제는 표면적인 인구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인구를 형성하고 있는 연령대에도 있다. 서귀포시 노령인구 비율이 제주시보다 훨씬 높다. 사망률이 그것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올 들어 지난 8월 현재 제주도 전체 사망자 2375명 중 서귀포시 사망자가 770명이다. 제주도 전체 사망자의 32.4%나 차지하고 있다.
서귀포시의 제주도 인구 점유율 26.7%에 비해 사망률이 32.4%로 월등히 높은 것은 그만큼 산남에 노령 층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다 보니 같은 기간 산남지역 출생률 역시 제주도 전체 인구 점유율 보다 낮은 24.9에 머물 수밖에 없다.
이렇듯 산남의 인구 구성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제반 여건의 열악(劣惡)과 산남-북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부재에서 비롯되고 있다. 행정-교육기관, 해-공항 등 교통수단, 각종 생활 편의시설, 심지어 이미 추진 중인 혁신도시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갖추어진 게 없다.
그러다보니 인구가 늘지 않고, 인구가 늘지 않으니 각종 시설들이 들어오지 않는다. 결국 이들 인구 문제와 기관-시설 간에 상호 역작용을 하면서 서귀포시는 침체 일로를 걷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정책부재까지 가세하면서 균형발전은 물 건너 간 느낌이다.
4개 시군을 통합, 단일 자치체로 출범할 때만 해도, 노무현 대통령 때 서귀 혁신도시 계획이 발표될 때만 해도, 그리고 대정 영어교육도시, 역사신화공원이 확정 될 때만 해도 지금쯤 산남은 몰라보게 달라질 것으로 기대했었다. 하지만 그 반대다. 심지어 하원주민의 목장 헐값 희생위에 설립된 탐라대마저 통합대학 지원을 구실로 팔아 없애려 한다. 그러나 당국은 강 건너 불보기다. 산 남-북 균형 발전을 말로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