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지사는 제주신교통수단의 일환으로 노면전차 도입을 공약으로 내걸었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 그룹에 타당성 연구용역을 의뢰했었다.
그러나 연구용역진은 지난 4월 “경제적 타당성이 미흡하다“는 중간용역결과를 발표했다. 1조5000억원의 빚더미에 시달리는 제주도가 1483억8600만원의 막대한 건설비를 확보하는 것도 문제지만 건설 후 대당 15억원의 차량구입비를 제외하고도 연간 인건비 15억6000만원, 동력비 6억5000만원, 차량유지 관리비 13억1000만원, 차량배터리 1억원 등 매년 최소46억2000만원의 소요경비를 어떻게 감당하겠느냐는 것이 용역진이 내건 ‘경제적 타당성 미흡’의 얼개다.
그래서 재정건전성이 날로 악화되는 도 당국이 또다시 1500억원대의 건설비를 빚내고 매년 수십억원 적자가 뻔한 노면전차 사업에 무리수를 두고 있는지에 대한 갖가지 억측과 비판이 일고 있는 것이다.
연구용역진이 지난 4월 연구용역 중간발표에서는 “어떤 종류의 노면전차를 도입하더라도 전혀 경제성이 없다“고 했다. 도는 이러한 용역 결과에 따라 노면전차 도입계획을 사실상 철회했다. 그러던 도가 최근 “전차모델을 바꿔서 도입하겠다”며 노면전차 재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왜 도당국은 막대한 사업비를 들이고도 경제성이 없다는 용역결과를 무시하고 적자경영이 뻔한 실리도 명분도 없는 노면전차도입을 강행하려고 하는 것인가.
이에 대해 도민사회에서는 ‘우지사의 다음도지사 선거를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노면전차는 지난 도지사 선거때의 공약이고 이를 이행함으로써 차기 선거에서 약속을 지키는 지도자의 이미지를 활용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우지사가 최근 노면전차 용역과 관련 “별도의 주민의견 수렴과정을 거치겠다“고 밝힌 것은 이러한 장기적 정치 포석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세간의 의문에 관계없이 막대한 예산을 빚져야 할 노면전차도입 추진은 그만두거나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