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한나라당 제주도당은 한마디로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고 발을 걸었다. 주변의 역사문화적 고증 없이 말만으로 탐라문화를 부각하는 등 사업의 콘텐츠가 부족하여 정체성이 모호하고 막대한 재원확보가 불투명하다는 것이 시비의 골격이다.
제주도는 옛 도심 산지천을 중심으로 한 5만㎡ 내외 부지에 2013년까지 쇼핑과 공연, 음식등 을 결합한 ‘탐라문화 광장’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1억원을 들여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맡겼다.
소요예산 800억원(공공부문 400억원.민자유치 400억원)으로 계획되고 있는 탐라문화광장의 기본 구상에는 산지천을 중심으로 한 테마카페, 세계음식테마거리, 산지천분수, 유선형 도로 등을 조성하고 제주여신을 주제로 한 광장과 테마정원이 포함돼 있다.
그런데 예산 확보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이다. 토지매입비와 시설비만 해도 400억원이 필요한 사업인데 빚더미 도정이 이를 감당할 없을 것이라는 지적인 것이다. 경제성이 불투명한 사업에 400억 규모의 민자 유치 실현성도 의문이다. 사실 내후년에 사업 완공을 목표로 한다면 당장 올해 토지매입비 70억원, 시설비 80억원이 필요하다. 내년에도 각각 160억원과 90억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다음은 탐라문화광장의 콘텐츠 부실이다. 탐라문화의 특장을 담아낼 테마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고작해야 먹거리 장터 수준과 정체불명의 정원조성은 당장 ‘탐라문화 없는 탐라광장‘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지사가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구도심에 주변상권과 연계한 새로운 관광 인프라를 갖추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계획은 환영받아 마땅한 일이다. 그러나 환영받을 만한 공약사항이 예산 확보 등 아무런 뒷감당 없이 추진하는 것이라면 이는 ‘선거용 토건식 전시행정‘ 이란 말을 들어 마땅할 것이다. 이제라도 이 사업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