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로 飛火된 탐라대 캠퍼스
도의회로 飛火된 탐라대 캠퍼스
  • 제주매일
  • 승인 2011.0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근민지사도 탐라대 입장 밝혀야

도의회로 飛火된 탐라대 캠퍼스

 탐라대학교 캠퍼스 이전(移轉)을 둘러싼 반대의 불길이 드디어 제주도의회로 날아들었다. 제주산정대(産情大)와의 통합으로 촉발된 탐라대학교 캠퍼스의 제주시 이전 반대 운동은 지난 달 말 고창후 서귀포 시장의 적극적인 지지 표명 이후 크게 확산 돼 왔다. 서귀포시 상공인회, 관광협의회 등 경제단체를 필두로 하원-회수-중문-월평-도순-대포-예래-색달 등 서귀포시 각 마을회를 비롯, 시민단체에 이르기까지 이 운동에 동참하고 나섰다.
 그런데 지난 5일에는 도의회 한나라당 소속 현정화 의원이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탐라대학교 캠퍼스 매각의 부당성’을 집중적으로 성토함으로써 이 문제는 서귀포시만이 아닌 제주도 전체의 현안이 돼버렸다. 고창후 서귀포시장의 반대운동 지지표명 이후 10여일만이다.
 현정화 의원은 본회의 발언을 통해 “학교법인 ‘동원교육학원’이 두 대학을 통합, 새롭게 출발하는 것은 축하할 일이나, 서귀포 지역의 유일한 대학인 탐라대학교를 사실상 폐교하는 것은 반대 한다”고 밝혔다.
 또 현의원은 동원교육학원이 두 대학을 통합하는 것을 기화로 “탐라대학교 부지를 팔아치울 잔꾀를 부리고 있다”고 주장 한 후 “이는 지난 세월 서귀포지역 교육발전과 인재육성을 위해 마을목장 부지를 헐값에 팔면서까지 희생해 온 지역주민들의 열망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행태”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현의원은 “현 탐라대학교 캠퍼스를 두 대학 통합캠퍼스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는 동원교육학원측이 학교부지를 매입할 당시 가격으로 원 주인인 하원마을 주민들에게 환매해 주라”고 촉구했다.
 앞으로 현정화 의원의 5분 발언이 도의회 내에서 큰 반응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그의 발언 내용이 사리에 딱 들어맞기 때문이다. 우리 또한 현의원의 주장을 적극 지지한다. 이제 탐라대학 캠퍼스의 매각 내지 이전 문제가 도의회까지 비화(飛火) 된 이상 도민 대의 기구로서 이를 중요의제로 다루지 않으면 안 된다.

우근민지사도 탐라대 입장 밝혀야

 우근민지사도 탐라대학교에 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강정해군기지처럼 좌고우면(左顧右眄), 기회주의자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일을 더욱 꼬이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혹시 우근민 지사는 탐라대 문제가 산업정보대학과의 통합과정에서 불거졌으므로 교육과학부나 해당 학교법인인 동원교육학원이 알아서 할 문제이지 도지사가 관여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물론, 탐라-산정 두 대학을 통합, 새로운 국제대학으로 출발하는 것이나, 통합 대학의 캠퍼스를 제주시와 서귀포 중 어느 곳에 두느냐하는 것 등은 오로지 교육부, 혹은 동원교육학원이 알아서 할 사항인 것은 맞다.
 그러나 대학 통합 과정에서 제기 되는 캠퍼스 이전(移轉) 등 얽힌 문제들이 지역 균형 발전을 저해하고  심각하게 주민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면 이는  교육부나 동원교육학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제주지역 전체의 현안이요, 제주도정(濟州道政)이 풀어야 할 주요 정책사안인 것이다. 적어도 도지사로서 거중조정(居中調整) 역할을 맡아야 할 책임이 있는 것이다.
 고창후 서귀포시장이 직선 아닌, 행정시장임에도 탐라대학 문제가 제기되자 즉각 기자회견을 갖는가 하면 관내 마을회장, 경제단체장, 시민 사회단체장 등과 합동회의를 열고 캠퍼스 이전 내지 매각 절대 반대라는 분명한 방향을 제시한 것은 좋은 본보기다. 이 점에서는 우근민 지사가 고창후 시장에게 한 수 배워야 한다. 우근민 지사는 동원교육학원 측과 서귀포 각 마을회, 시민 사회단체 등과 꾸준히 소통하면서  시급히 행정적 조정 노력을 기울여 주기 바란다. 그것은 빠를수록 좋다.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은 백번을 해도 소용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