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대 매각, 업계가 먼저 반대 투쟁에
탐라대 매각, 업계가 먼저 반대 투쟁에
  • 제주매일
  • 승인 2011.0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수관 공사비까지, 손 안 댄 곳이 없다

탐라대 매각, 업계가 먼저 반대 투쟁에

 산업정보대와 통합되는 탐라대 캠퍼스의 제주시 이전(移轉)에 대해 16만 서귀포 시민이 반대 투쟁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두 대학 통합캠퍼스가 제주시 소재 산업정보대학 캠퍼스로 정해졌다는 사실이 알려진 직후 서귀포 고창후 시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단호히 반대 입장을 밝힌바 있다. 이는 탐라대학 부지로 공동 목장을 헐값에 제공해 줬던 하원마을 주민들의 캠퍼스 이전(移轉) 반대를 적극 지지하는 것으로서 서귀포 시민들에게 절대적인 공감을 얻고 있다.
 그 반응이 서귀포시 상공-관광 등 업계에서 먼저 나왔다. 지난 30일 서귀포시 상공회 및 관광협의회 관계자들은 회원 일동 명의의 성명을 발표하고 “탐라대학 캠퍼스의 제주시 이전을 적극 반대 한다”고 천명했다.
 이들은 “당초 탐라대학교 설립은 지역대학 설립을 열망하는 시민들의 뜻에 따라 하원마을 주민들의 희생을 무릅쓴 공동목장 헐값 제공이 있었기에 가능 했었다”며 “이제 와서 탐라대학교 캠퍼스를 매각하겠다는 것은 16만 서귀포시민에 대한 신뢰와 숙원을 저버리는 처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탐라대학 캠퍼스를 매각한다면 이는 서귀포시를 교육의 사각지대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며,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불균형 발전을 심화시키는 일”임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이뿐만이 아니다. 이들은 성명 발표 후 서울로 올라가 교육과학부 등을 방문, 탐라대학 캠퍼스 이전(移轉)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등 본격적인 반대 운동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탐라대학 캠퍼스 매각 반대운동은 아직 시작일 뿐이다. 알려진 바로는 앞으로 각종 시민 사회단체는 물론, 일반 주민들도 대대적인 캠퍼스 매각 저지운동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강정 해군기지에 버금가지 않은 제2의 갈등으로 번질 공산이 크다. 대학 재단인 ‘동원교육학원’의 현명한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하수관 공사비까지, 손 안 댄 곳이 없다

 업계도 그렇고, 공직사회도 그렇다. 작금년(昨今年) 각종 예산-보조금-풍수해 지원금, 심지어 기초생활 보호자의 생계 자금에까지 부정한 손을 댔다는 소식이 끊이질 않더니 급기야는 하수관거(下水管渠) 사업의 폐기물 처리비용에도 그 더러운 손이 뻗쳐 있었다. 참으로 한심하고 절망스럽기까지 하다.
 물론 업계나 공직사회에서는 그러한 일이 일부에서 일어났을 뿐이지, 어디 그게 전체의 일
이고, 전체가 욕먹을 일이냐고 다른 의견을 내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요 몇 년 사이  벌어지고 있는 부정부패 사건들을 보노라면 우리는 그것이 일부
에 불과한 것이니까 괜찮다고 너그러이 보아 넘길 그러한 아량을 갖고 있지 못하다.
 제주지방경찰청의 엊그제 발표도 그렇다. 제주시 지역 하수관거 사업을 둘러싸고 업체 간부 3명과, 과장을 포함한 공무원 3명 등 6명이 허위문서를 작성, 실제 있지도 않은 폐기물 6930t을 있는 것처럼 꾸며 용역비 2억1600만원을 받아 가로챘다는 것이다.
 시도 때도 없이 적발되는 이러한 잦은 부정부패 소식을 접하면서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혹은 어느 업자들이, 혹은 어느 공무원들이 어디서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안심할 수가 없다.
 최근에도 검-경이 어디 어디를 압수 수색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아직 그에 대한 수사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혹시 대형 부정 사건은 아닌지 우리가 조마조마하다. 이런 비리들이 없어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형벌이 너무 물렁해서가 아닌지 검토가 필요 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