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주공영주차장 BTO사업관련 중간보고회 비공개 진행
제주시가 신제주공영주차장 부지에 주차빌딩 건립과 관련한 타당성 용역 중간보고회를 비공개로 진행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사업은 용역 발주 이전부터 특혜시비 등이 제기된 터에 용역 중간보고회까지 비공개로 하면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시는 11일 담당공무원 등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으나 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시는 신제주 로얄호텔 앞 공영유료주차장(4726㎡)에 주차빌딩을 건립하기로 하고, 지난 1월 5000만원을 들여 경제적 타당성 및 기본설계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
이 주차빌딩은 민간투자로 주차장을 조성, 일정 기간 이용하게 한 뒤 기부채납하게 하는 수익형 민자사업(BTO) 방식으로 추진된다.
시는 조성된 지 2년밖에 안 된 이곳 주차장에 주차빌딩을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로 ‘신제주지역 주차난 완화’를 들고 있다. 5~6층 규모의 주차빌딩을 건립해 근린생활시설과 함께 600면 정도의 주차시설을 마련하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이 시설에 대해 용적률과 관련해 특혜 가능성 등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김태석 도의회 환경도시위원장은 지난 2월 제주시 업무보고 자리에서 “주차빌딩 용적률은 800%로 제주일보 사옥에 들어서는 롯데호텔 470%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건축 총면적의 30%에 상가가 들어설 예정인데 이는 특혜일 뿐 아니라 지역 상권과의 마찰도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경진 도의원도 “조성된 지 얼마 안됐고 주차 수요도 많지 않은 공영주차장에 민간투자방식으로 주차 빌딩을 건설하려는 것은 공영주차장의 사유화와 예산낭비 소지가 짙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제주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용역 시작 단계에서부터 많은 지적이 있었던 민감한 사안이라 중간보고회를 비공개로 했다”며 “이번 주 내 중간보고회 내용을 의회에 보고하면서 언론에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