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귀농협 장례식장 건립, 오폐수 처리놓고 주민 반발
하귀농협 장례식장 건립, 오폐수 처리놓고 주민 반발
  • 제주매일
  • 승인 2011.0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침투식 정화 방법이 지하수 오염"…농협 "법적 문제 없어"
농협이 제주시 서부지역 주민 편의를 이유로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장례식장을 지을 예정인 가운데 외도동 주민들이 하수관 미비를 이유로 반발하고 나서 갈등을 빚고 있다.

제주시 하귀농업협동조합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장례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역주민의 숙원사업 해소 차원에서 광령저수지 인근 만2천㎡ 부지에 장례식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56억원이 소요되는 장례식장은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분향실과 식당 등의 장례 관련 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하귀농협은 이를 위해 지난 2일 제주시로부터 건축허가를 따내는 한편 건설업체가 선정되는 대로 4월중에 착공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장례식장의 오폐수 정화시설을 문제 삼아 제주시 외도1동 주민들이 건립 반대운동에 나서면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들어설 장례식장 오폐수 정화방법은 하수관로없이 자체 정화시설을 거쳐 땅속으로 스며들게 하는 침투식 방법.

읍면지역인 예정부지는 제주시 동지역과 달리 하수종말처리장과 오수관을 연결하지 않아도 법적인 문제가 안돼 한라산 중산간에 있는 제주경마장 등 상당수 시설들이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은 장례식장에서 나온 오폐수를 곧바로 지하에 흘릴 경우 인근 지하수 관정 6곳과 1.8㎞ 떨어진 월대천 오염이 불가피하다며 건립에 맞서고 있다.

외도1동 마을회 박운천 회장은 “장례식장이 자체 정화시설을 거쳤더라도 자연침투식으로 하수를 처리할 경우 지하수 오염은 뻔하다”며 “농협 자체적으로 하수관까지 연결할 방법을 찾아내는 등 처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장은 이어 “주민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현재 천200여명 주민의 반대서명을 바탕으로 제주시에 집단 민원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하귀농협은 현행법상 아무런 문제도 없이 건축허가까지 받은 사항을 문제삼는 건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기존 정화시설보다 보강한 정화시설을 통해 장례식장 오폐수를 투과시키는 만큼 빗물에 준하는 수준까지 정화되고, 인근의 관정 6곳도 식수가 아닌 농업용수여서 문제가 안된다고 보고 있다.

하귀농협 강재준 기획상무는 “공공하수도가 200m 이내에 없는 토지는 개발할 수 없도록 한 제주도 도시계획 조례 때문에 침투식 정화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정화된 물은 오수가 아닌데 이 물을 문제삼는다면 하수종말처리장이 바다에 버리는 물은 뭐냐”고 반문했다.

이처럼 장례식장 건립을 놓고 의견이 맞서는 가운데 협상 차원에서 마을발전기금과 장례사업 일부 양도 등의 문제까지 거론되면서 갈등은 더욱 불거지고 있다.

한편 외도1동 마을회와 별도로 외도동 부영아파트 주민들은 장례식장 건립 자체를 반대하며 반대서명에 돌입했다./노컷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